"모든 사업 원점에서 재검토"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얽히고설킨 택시 문제 해결책 내놓을까

입력
2023.11.14 08:00
17면
김범수 센터장, 3차 비상 경영 회의 개최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관계자들과 간담회
이미 낮은 수수료율, 추가 인하 요구에 부담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최근 카카오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을 두고 "모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김 센터장과 카카오모빌리티가 택시 사업과 관련해 수년 동안 얽히고설킨 논란의 실타래를 풀기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13일 김 센터장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알파돔 타워 카카오모빌리티 본사에서 제3차 공동체 비상 경영 회의를 진행했다. 1일 윤석열 대통령이 카카오모빌리티의 사업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한 만큼 창업자가 직접 나서서 문제 해결 의지를 보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 센터장은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 사랑을 받는 기업으로서 성장해 온 카카오가 초심과 같은 새로운 카카오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올해 말 가시적 방안을 내고 내년에 본격적으로 많은 일이 일어날 수 있도록 달리겠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이날 오후 4개 택시 단체 및 카카오택시 가맹협의체와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의견을 들었다.



"현재 수수료율로도 택시 사업 적자인 상태"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사업을 둘러싼 가장 큰 논란은 수수료율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 택시 사업자에게 운임의 20%를 수수료로 일단 받고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 사업자에게 이 중 15~17%가량을 돌려주는 독특한 방식의 계약을 맺고 있다. 실질 수수료율은 3~5% 수준이다. 반면 택시업계가 원하는 가맹택시 수수료는 1%대인 것으로 전해진다.

회사 입장에선 현재의 실질 수수료율 자체가 더 낮추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항변한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해외 모빌리티 업체들은 20%대 수수료를 받고 있다"며 "현재 수수료 수준으로도 택시 사업에선 돈을 못 벌고 있다"고 말했다. 우버는 시기에 따라 15~28%, 그랩 역시 20%를 수수료율로 정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호출 시장의 90% 이상을 장악하고도 지난해 277억 원의 적자를 봤다.

업계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이중 구조 계약 개편을 꼽고 있다. 20%를 먼저 가져가고 17%를 돌려주는 게 아니라 처음부터 수수료율을 3%로 책정하는 식이다. 하지만 이 역시 기업공개(IPO)를 기대하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 입장에서 선택에 부담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글로벌 투자사로부터 자금을 유치하면서 일정 기간에 IPO를 해야 한다는 조건을 받았다. 애초부터 카카오모빌리티는 이런 계약 구조를 통해 매출을 뻥튀기하고 IPO 시 기업 가치를 높게 평가받으려는 전략이었던 셈이다.



"돈도 못 버는데 수수료 내리라고?, 카카오 매각할 수도"


김 센터장까지 나선 만큼 카카오모빌리티가 결국 정부와 기사들의 요구대로 수수료를 낮출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그럴 경우 정부가 우려했던 카카오의 독점이 강화될 수밖에 없다. 이미 타다 논란 등으로 어떤 스타트업도 택시 관련 모빌리티 시장에 진입하려 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카카오나 카카오모빌리티 입장에서는 운영하면 할수록 적자를 볼 뿐 아니라 논란만 일으키는 만큼 택시 사업을 계속해야 하는지 근본적으로 고민할 수도 있다. 구태언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리걸테크산업협의회 공동협의회장은 "적자를 보는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수수료를 낮추라는 것은 사업을 정리하고 팔라는 얘기"라며 "현재 모빌리티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카카오가 매각을 결정할 경우 외국 자본에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