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간 대구·경북의 소멸위기가 가장 심한 시군구 단위에서 활동해 왔다. 인구 대다수가 60~80대의 고령인구로 구성된 지역일수록 그런 위기감이 더하다. 청년 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문제가 아니다. 전체 인구 자체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하게 줄어들어 향후 20~30년 내에 대다수의 인구가 소멸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역도 많다. 지방 소멸을 막고 균형 있게 발전하자는 외침을 발전과 혜택에서 소외된 지역 주민들의 하소연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된다. 미래적 관점에서 대도시의 과밀 문제와 지역의 과소문제는 대한민국의 존망이 걸린 중차대한 문제로 반드시 해법을 찾아야 하는 지점이고 전 국민적 공감대가 중요하다.
지방소멸을 늦추고 나아가 지방 활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자, 많은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것은 소멸 위기 지역의 청년 인구 유입이다. 청년 인구는 그 자체로도 취·창업을 통해 생산을 이끌고 문화, 여가, 교육 활동을 통해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근원적 해결책으로 손꼽힌다. 필자는 청년 당사자이기도 하면서 청년 창업가를 발굴, 육성하는 여러 일들을 현장에서 해오고 있기에 여러 지자체로부터 연락을 받아오고 있다. 특히 소멸 위기지역에서 예비 창업가를 지역에 뿌리를 둔 로컬 CEO로 발굴하고 육성하는 일은 청년 일자리, 지방 소멸의 두 중요한 사회적 니즈를 한 번에 충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너무도 매력적이다.
청년들이 소자본, 무자본으로 할 수 있는 창업 형태로는 생계형 창업이 다수다. 그동안 대다수의 소멸위기 지역에서 1차로 진행되었던 청년 창업지원 사업들은 지역에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유휴공간을 매입한 뒤 리모델링해서 작업장, 전시장, 체험장 등으로 꾸미는 방식이었다. 이런 시설을 통해 관광객 유치 등을 하겠다는 전략으로 접근하는 케이스가 많았다. 하지만 지원금 지급 시기가 끝이 나는 1~2년차가 되면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하는 비즈니스 모델 탓에 대규모 자금을 쏟아부어 만든 시설과 건물들만 덩그러니 남고 그 속을 채울 청년들은 모조리 다시 빠져나가 버리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청년들이 활발하게 일터를 만들고 소통을 통해 청년만의 문화를 만들어가기를 기대하고 원했으나, 결국 지속가능한 자립 구조를 구축하지 못해 큰 의문이 생겨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에서는 뾰족한 해법을 찾지 못하다 보니 기존의 방식을 되풀이해온 면도 있다.
지난 9월 14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개최된 지방시대 선포식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지방시대위원으로 위촉증을 수여받았다. 지역 현장 청년들의 목소리가 지방균형발전과 분권정책을 조정, 심의, 의결하는 과정에서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낀다.
청년들이 마음 놓고 자신의 꿈을 펼쳐가려면 녹록지 않은 사업 전선에서 어려움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든든한 창업 생태계가 필요하다. 기술과 자본 그리고 인재가 모여 있는 수도권의 창업밸리와 같은 지역특화 창업밸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필자가 주장하는 이유이다. 로컬에서도 충분히 꿈을 꾸고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청년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지방시대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