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까지 오염수 3만1200톤 흘러나온다...일본 "물고기 잡아 검사할 것"

입력
2023.08.23 04:30
1면
"국제사회 이해 얻었다" 판단
도쿄전력 방류 준비 시작
IAEA, "방류 첫날부터 모니터링"
중국, 현지 어민 등 강하게 반발

일본 정부가 오는 24일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명 ‘처리수’)의 해양 방류를 시작하기로 22일 결정했다. 2021년 4월 스가 요시히데 내각이 방류 방침을 확정한 이후 2년 4개월 만이고,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이후 12년 만이다. 일본은 지난달 초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증 보고서를 통해 과학적 안전 보증을 받았고 이후 한미일 정상회의 등을 통해 국제사회의 이해도 구했다는 것을 방류 강행 명분으로 내세운다.

일본이 내년 3월까지 바다에 흘려보낼 오염수의 양은 3만1,200톤으로, 원전에 보관된 총량(134만 톤)의 약 2.3% 정도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폐로가 종료될 때까지 오염수가 계속 발생하는 만큼 오염수 해양 방류는 수십 년 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IAEA는 22일 "방류를 시작하는 즉시 현장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밝혔지만, 안전성 논란은 진화되지 않았다.

도쿄전력, 즉시 방류 작업 착수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22일 관계장관 회의에서 “(오염수 방류에 대한) 국제사회의 정확한 이해가 확실히 확산됐다”며 “(방류 개시일은) 기상·해상 상황 등에 지장이 없으면 24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원전 운용사인 도쿄전력은 즉시 방류 준비 작업을 개시했다. 이날 다핵종처리시설(ALPS)로 오염수의 방사성물질을 거른 후 수조로 부었고, 수조에 바닷물을 부어 추가 희석한 뒤 24일 오전 1km 길이의 해저 터널을 통해 바다로 내보낸다. 리터당 삼중수소 농도가 1,500베크렐(방사능 측정 단위) 미만으로 확인돼야 방류한다는 방침이다. 리터당 1,500베크렐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식수 방사능 허용치의 7분의 1 수준이다.

이로써 내년 3월까지 바다에 방출되는 삼중수소는 5조 베크렐이다. 도쿄전력이 정해 둔 연간 삼중수소 배출 총량은 22조 베크렐 미만이다. 도쿄전력이 “방류 첫해는 신중하게 대처하기 위해 적은 양만 방류한다"고 한 만큼 내년 오염수 방류량과 삼숭수소 배출량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IAEA는 후쿠시마 현장 사무소에서 방류 오염수의 방사능물질 농도가 기준에 부합하는지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한국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한국 전문가의 현장 방문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IAEA와 한국 정부는 소통 채널인 'IAEA-한국 후쿠시마 정보 메커니즘(IKIM)'을 구축했다. 일본 수산청도 매일 인근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아 삼중수소의 양을 검사하고 공개할 방침이다.

후쿠시마 어민 "불의의 습격"

한국, 중국 등 주변국 반응은 엇갈렸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1차장은 22일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류 계획이 "과학적, 기술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반면 오염수 방류에 강하게 반대해온 중국과 홍콩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를 대폭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존 리 홍콩 행정장관은 “핵 폐수를 방류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일본 후쿠시마현 어민들도 반발했다. 2015년 어민들에게 “(어민 등) 관계자의 이해 없이는 (오염수를) 처분하지 않겠다”고 한 약속을 정부가 파기했기 때문이다. 일본 교도통신은 “불의의 습격을 당했다. 약속은 거짓말이었느냐”는 어민들의 반응을 전했다.

국제 환경단체들도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그린피스 재팬은 “일본 정부는 원전 폐로를 위해 오염수의 해양 방출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지만 근거가 부족하다"고 했다. FoE 재팬은 “도쿄전력은 전체 오염수 탱크 중 방사능 농도 측정을 제대로 실시한 것은 전체 탱크의 3% 미만에 불과하다”며 “탱크의 약 70%엔 아직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방사능물질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첫해 방류할 오염수의 방사능물질은 기준치 이하라 해도 이후에 방류될 오염수의 안전성은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도쿄= 최진주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