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산업은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라는 점에서 '제2의 반도체'라 불리지만, 반도체 산업과 성장 방식이 매우 다르다. 기술에 독점권을 부여하는 특허를 많이 확보하는 전략이 특히 더 중요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반도체 산업이 성장하려면 반도체의 집적도를 물리적으로 높이는 공정 기술을 점진적으로 끌어올리는 게 핵심이다. 그래서 삼성전자, 대만의 TSMC는 반도체 회로 선폭을 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 단위로 줄이는 경쟁을 한다. 반면 배터리 산업은 배터리에 들어가는 화학 원료를 교체해 기술의 판도를 확 바꾸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여러 기업이 당장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것과 상관없는 차세대 배터리 특허를 많이 출원하고 있는데, 리튬메탈 배터리·나트륨이온 배터리 등 종류도 다양하고 정답도 정해져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미리 확보해놓지 않으면, 시장이 바뀌었을 때 아예 기회를 잃게 되기 때문에 기업으로선 되도록 많은 특허를 선점하는 데 매달리는 게 유리하다는 것이다.
배터리 기업들이 완성차 업체와 활발하게 전략적 제휴를 하거나 합작회사를 설립한다는 점도 특허의 중요성과 관련이 깊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대·기아차, GM, 혼다와 합작사를 설립했다. 삼성 SDI와 SK온도 각각 스텔란티스, 포드와 합작사를 꾸렸다. 특허청 관계자는 "배터리 경쟁에서 뒤처진 해외 완성차 업체들은 배터리 기술의 노하우를 취득하지 못하면 계속 배터리 생산업체들에 종속돼야 하는 입장"이라면서 "협력 중인 완성차 업체와 향후 이견이 발생할 경우 기술 독점권을 확실히 선언하려면 특허 확보가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배터리 업체끼리 소송전이 종종 발생하는 것도 기업들의 특허 출원을 자극한다. 2011년 SK이노베이션과 LG화학이 배터리 분리막 기술 특허 침해 여부를 두고 수년간 법정 공방을 벌인 게 대표적이다. LG화학은 중국 CATL의 전신인 ATL을 상대로 한 해외 특허 소송전에서 이겨 천문학적 규모의 로열티(특허 사용료)를 확보한 적도 있다.
이영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 스마트소재연구실장은 "두 기업이 소송을 벌일 때 한쪽이 원천성을 가진 특허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상대가 유사한 특허를 많이 보유하고 있으면 물어줘야 할 보상액을 줄일 수 있다"면서 "당장 특허 보유가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미래에 벌어질 복잡한 경쟁과 소송에 대비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터리 기술 응용 분야가 지속적으로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특허 확보 중요성 역시 함께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김동욱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리튬 배터리는 처음 일본에서 캠코더, 노트북 등 소형 전자기기에 쓰이다가 전기차에 적용되면서 활용도가 크게 넓어졌다"면서 "응용 제품군이 늘수록 이에 발맞춘 기술 발전과 특허 출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터리 기술은 앞으로 항공, 열차, 선박 등 활용 분야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