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경기회복 상징 '쯔보 꼬치구이 열풍'이 금세 시들해진 이유는

입력
2023.07.09 11:10
16면
제로 코로나 철폐 이후 신드롬급 인기
수요-공급 역전되며 줄줄이 매장 철수

지난해 말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 폐기 이후 중국 내수 경기 회복의 상징으로 타올랐던 산둥성 쯔보시의 꼬치구이 거리 상점들이 하나둘 간판을 내리고 있다. 특수를 노린 자영업자들이 너도나도 새 가게를 열었지만 인기가 식어버린 탓이다.

중국 현지 매체 차이나뉴스위클리는 5일 "지난 몇 달간 중국인들이 열광했던 꼬치구이 인기가 떨어지면서 거리 풍경이 예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쯔보에서 꼬치구이 가게를 열기만 하면 대박을 터뜨릴 줄 알았던 신규 창업자들은 줄줄이 가게를 매물로 내놓고 있고, 일부 임차인들은 다른 업종으로 갈아타고 있다는 것이다.

전용 열차까지 등장...쯔보 꼬치구이 신드롬

쯔보시는 중국 산둥성에 위치한 인구 470만 명의 도시다. 이렇다 할 유적지나 관광지가 없는 공업 도시이지만 꼬치구이 가게 수백 개가 밀집한 바비큐 거리가 올해 초부터 중국의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꼬치에 꽂아서 구운 양고기와 각종 채소를 얇은 밀가루 전병으로 싸먹는 독특한 메뉴가 인기를 끌었다. 꼬치 1개당 2위안(약 400원)에 불과한 가격도 인기 요인이었다. 3년간의 제로 코로나 기간 동안 여행과 외식에 목말랐던 중국인들은 야외에서 맥주와 함께 꼬치구이를 먹는 것에 푹 빠졌다.

쯔보 방문객은 폭발적으로 늘었다. 지난 3월에만 쯔보시 인구보다 많은 480만 명의 관광객이 이곳을 찾았다. 노동절 연휴(4월 29일~5월 3일) 기간 쯔보시 호텔 예약 건수는 2019년과 비교해 800% 증가했고,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의 쯔보 방문 후기가 각종 SNS를 도배하며 '쯔보 열풍'을 부추겼다.

중국 정부와 관영 언론들은 "쯔보 열풍은 중국 내수 경제의 잠재력을 보여준다"며 지역 경제 발전의 롤모델로 치켜세웠다. 인민일보는 "전 국민 관광시대에 특색 있는 관광지를 만들려는 지방 정부는 쯔보시의 성공에서 시사점을 얻길 기대한다"고 보도했고, 실제 주변의 지방 정부들은 시찰단을 꾸려 쯔보시로 보냈다. 철도국은 산둥성의 성도인 지난시와 쯔보시를 오가는 '꼬치구이 여행 전용열차' 노선까지 개설했다.

넉 달간 새 점포 700개...과잉 공급

북새통을 이뤘던 꼬치구이 거리는 금세 한산해졌다. 한몫 챙기려 많은 자영업자가 새 가게를 열었지만 노동절 연휴 이후 관광 수요가 급감하며 '쯔보 신드롬'이 식어갔다.

올해 3월부터 4개월간 쯔보시에는 새 꼬치구이집 694곳이 문을 열었다. 중앙 정부의 각별한 주목을 받고 있던 쯔보시는 몰려드는 창업자들을 막지 못했다. "처음엔 꼬치구이가 없어서 못 팔 지경이었으나, 한 달여 만에 수요와 공급이 역전됐다"고 차이나뉴스위클리는 지적했다.

꼬치구이 가게의 한 점원은 "심각한 손실을 입고 장사를 접는 사람들이 많다"라며 "인기가 더 식기 전에 철수할 수밖에 없다"고 푸념했다. 롄정 베이징대 국제경영대학원 교수는 "일부 인플루언서들의 입소문에 의한 인기는 빨리 식기 마련인데 이를 간과한 채 공급만 늘려놨으니 많은 가게들은 문을 닫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