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지원사업 패러다임 전환으로 지역소멸 해결한다

입력
2023.05.24 01:00
19면
[지역청년 민관협력 심포지엄]
"맞춤형 로컬 정책 필요... 수요 파악 필요" 
민관협력 플랫폼 구성·청년 권한 부여도

"지역으로 가고 싶은 청년들의 바람과 정부의 지원 정책이 잘 어울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인구소멸과 인프라 부족 등 당면한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해 청년 주도 사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3일 오후 서울 동작구 대방동 스페이스 살림에서는 ‘지역ㆍ청년 상생을 위한 민·관협력 방안 모색 Boost Your Local’ 심포지엄이 열렸다. 함께만드는세상(사회연대은행)과 청년희망팩토리사회적협동조합이 주관하고 행정안전부, 삼성생명이 후원한 이날 행사에는 조은희 국민의힘 의원과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을 비롯해 전국에서 활동 중인 청년활동가 등 100여 명이 참석해 머리를 맞댔다.

주제발표에서는 정부의 지역 청년사업 현황이 소개됐다. 김형균 행정안전부 지역활성화정책과 사무관은 “정부는 2021년부터 지역, 청년, 현장 등 3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지역 청년활동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지역 현안 위주의 지원금을 중점적으로 지원해 자립 의지가 있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자생력을 키울 수 있는 융합지원제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열린 토론회에서는 지역 청년 활동 사업의 방향성에 대한 조언이 이어졌다. 류인선 임팩트스퀘어 실장은 “지역 소멸이라는 의미는 반대로 지역이 성숙할 수 있는 과정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며 “청년들이 스스로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청년 정책은 입체적인 관점에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도 “지역 문제를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보다 넓은 범위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 트렌드에 적응하고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지역 사업에 청년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도 논의됐다. 강기훈 청년희망팩토리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은 “청년은 기획의 대상이 아닌 발전의 주체가 돼야 하고, 청년 당사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행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며 “서로 간의 의견을 조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성하고 그에 걸맞은 권한 부여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황종규 동양대 공공인재학부 교수는 “청년들이 지역에 가는 것은 지역을 살리러 가는 것이 아닌 자신만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기 때문”이라며 “이 부분을 간과한다면 효과 없는 정책을 반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황 교수는 또 “지역에 거주한다는 사실 자체가 신분이 되고 있는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며 “보조금 지원 역시 의사결정과정에서 배제돼 있는 청년들에게 사회가 제공해야 할 공공성 높은 요소로 여겨야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 지역 사업에 뛰어든 청년들의 의견도 들렸다. 전남 신안군에서 동물과 함께하는 청년마을을 운영 중인 이찬슬 뜨거운상징 대표는 “미래에 대한 이야기는 미래를 살아갈 사람에게 맡기는 것이 기본”이라며 “불필요한 규제를 없애고, 청년들이 도전을 통해 자신의 결정을 스스로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부연했다. 경기 양주시에서 청년중심 '봉암마을'을 운영하는 김태욱 청년망고 협동조합 대표는 "즐길거리와 놀거리가 없는 지역에 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은 필수"라고 덧붙였다.

김용덕 함께만드는세상 이사장은 “척박한 지역사회의 환경과 어려움으로 청년들은 때로 좌절하기도 하지만, 열정과 패기로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며 "중소도시 청년의 활동지원을 위해 정부와 민간의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더욱더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