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올리니 강력 범죄 줄고 출산은 늘었다네

입력
2023.03.23 16:00
14면

“미치광이 끝판왕.” 폭스뉴스 등 미국 보수 언론들이 댄 프라이스에게 보낸 야유다. 프라이스는 시애틀에 있는 카드결제 대행사 그래비티페이먼츠의 최고경영자다. 그는 2015년 평균 4만8,000달러(약 5,400만 원)인 직원 최저연봉을 7만 달러(약 8,000만 원)로 대폭 올린다. 100만 달러가 넘던 자신의 연봉을 7만 달러로 삭감해 재원 일부를 충당했다.

임금 인상은 직원들의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직원 10%가 생애 첫 집을 마련했고, 대출이 있는 직원 3분의 1이 빚을 절반 이상 갚았으며,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니 출산 붐까지 일었다.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냉소와 달리 회사도 쑥쑥 성장했다. 경영지 Inc에 따르면 그래비티페이먼츠의 거래 규모는 2015년 38억 달러에서 2021년 102억 달러(약 11조4,000억 원)로 늘었다.

책 ‘왜 내 월급은 항상 부족한 걸까’는 말한다. “직원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경제 성장과 양립할 수 있다는 점은 확실하다.” 임금을 인상하면 기업 수익이 줄어든다는 통념을 뒤집는 주장이다. 저자 데이비드 벅마스터는 나이키, 스타벅스, KFC 등 세계적 기업에서 급여 책임자로 일한 임금 전문가. 현행 임금 체계가 왜 실패했고, 어떻게 임금을 올릴 수 있는지 비법을 입담 좋게 풀어냈다.

“급여를 결정하는 가장 강력한 힘은 고의가 아닌 타성이다.” 이 문장부터 눈길을 사로잡는다. 직원들은 노동한 대가에 따른 충분한 월급, ‘공정 급여’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내 월급 왜 이래’. 저자는 가진 자들의 고의적 방해 탓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기업 내에 정확한 임금 산출 체계가 없어서 생긴 ‘시스템적 오류’다. 이렇게 임금이 깜깜이식으로 결정되다 보니 직원도 임금 협상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인다.

이제 전 세계 노동자들이 단결해 ‘공정 급여’를 이야기해야 할 때다. 공정 급여는 기업에도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저자에 따르면 직원이 생계비를 덜 걱정하고 직장을 신뢰할수록 고객에 더 친절하며 업무 능력도 향상한다. 직원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회사는 다른 회사보다 20% 더 높은 수익을 주주에 안겨줬고, 남녀 직원을 동등하게 대우하는 회사는 혁신이 여섯 배 증가했다.

주는 대로 받았던 월급에 문제의식을 가질 수 있는 흥미로운 책. 어떤 통계들은 정신이 번쩍 들 정도로 따끔하다. 1979년과 2005년 사이 국민 소득 증가분의 60%가 임원ㆍ경영자ㆍ금융 업계로 흘러들어갔고, 1973년부터 2014년까지 노동 생산성은 72% 올랐지만 실질 임금(물가상승 효과를 제외한 실질적 임금)은 겨우 9% 올랐다는 통계 등이 그렇다. 최저임금이 오를 때마다 자살률과 강력범죄 발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난 22일 공개된 한국 재벌 총수들의 작년 연봉은 이재현 CJ그룹 회장 221억 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106억 원, 구광모 LG그룹 회장 94억7,800만 원, 김승연 한화그룹회장 90억100만 원이었다. 노동자들의 ‘공정 급여’에 대한 관심이 사그라질 수 없는 이유다.

정지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