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하루 6.9시간 수면 취해…스트레스·불안 탓에 잠 못 이뤄

입력
2023.03.16 21:41
12개국 2만 여명에게 수면 조사 결과

전 세계인들은 하루 평균 7시간 정도 잠을 자고 있지만 한국인은 이보다 적은 6.9시간인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수면솔루션 브랜드 레즈메드(ResMed)가 17일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전 세계 12개국 18세 이상 2만6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수면 인식 설문 조사 결과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인도, 영국, 독일, 프랑스, 멕시코, 싱가포르, 호주, 브라질 등이 조사에 참가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9시간으로 12개국 평균 수면 시간인 7.16시간보다 적었다.

수면의 양, 질에 대한 만족도는 ‘불만족스럽다’는 답변이 각각 50%, 55%로 집계돼 12개국 수면의 양과 질에 대한 불만족이 각각 35%, 37%인 것과 비교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 응답자의 10% 정도가 ‘아침에 일어날 때 상쾌하고 행복한 기분이 든다’고 답했으며, 반면 ‘피곤하고 불행하다고 느낀다’는 답변은 59%로 12개국 평균 수치인 각각 25%, 26%의 2배 이상에 달했다.

한국인 응답자의 71%는 코골이를 수면의 질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 중 22%만이 수면 습관이나 패턴을 기록하기 위해 수면 추적 기기 사용을 알아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수면의 질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가중된 스트레스와 걱정’(60%) ‘잦은 전자기기 및 화면 사용’(41%) ‘불안과 우울감’(29%) 등이 꼽혔다.

또한 한국인 응답자의 51%는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수면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스트레스를 지적했으며, 이어 ‘주간 졸음 과다’(37%) ‘주간 집중력 저하’(30%) ‘감정 기복으로 인한 피로’(30%)가 뒤를 이었다.

세계 곳곳에서 많은 사람이 수면 장애를 겪고 있지만, 수면 치료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대부분이 수면 치료에 대해 높은 불확실성과 의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면 개선을 위해 전문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한국인 응답자는 11%에 불과해 글로벌 평균 16.5% 보다 크게 낮았다.

이는 ‘친구나 가족에게 도움을 구한다’(26%) ‘온라인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알아본다’(28%)보다 크게 낮은 수치다.

수면장애를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는 이유로는 ‘어떻게 개선 또는 치료해야 할 지 모르겠다’는 답이 43%로 가장 많았고, ‘비용 부담이 크다’는 답도 34%를 차지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