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비밀경찰서 폭로 단체 "폭로 보고서가 사라지고 있다"

입력
2023.01.03 13:10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 라우라 아르트 캠페인국장
"보고서와 똑같은 표지에 다른 내용 넣기도... 중국 훼방"

중국이 암암리에 지구촌 곳곳에서 비밀경찰서를 운영하는 실태를 알리는 보고서가 사라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해 '한국에 새로운 모델의 연락사무소를 만들겠다'는 중국 공안의 문서도 있다는 말도 나왔다.

중국 비밀경찰 운영 실태를 폭로한 인권단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의 라우라 아르트 캠페인국장은 3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저희가 비밀경찰 활동 실태를 담은) 리포트를 지난해 9월에 한 번, 12월에 한 번 발행했는데, 계속 온라인에서 사라지고 있다"며 "아카이브화를 해서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보고서를 발행한 이후에 온라인 캠페인을 통해서 공격하는 빈도가 늘어났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 똑같은 표지의 보고서인데 다른 내용을 발행해서 헷갈리게 하고, 사실 중국 외교부도 저희 단체를 언급한 적도 있다"고 주장했다.

아르트 국장은 "'비밀 경찰서'가 공식 이름이 아니고, 중국 내 4개 지역에서 다른 이름으로 각각 해외 지역에 어떤 연결 고리를 만들어 지부를 설립했다"며 "중요한 건 관련국의 허락 없이, 즉 불법적으로 비밀리에 설립됐고, 광기에 해당하는 행동이 좀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어 "세이프가드 디펜더스의 목표 중 하나가 이들을 파헤치는 것"이라며 "관련국의 시민들도 존재 자체를 모르는 상황에서 많은 (중국) 사람들이 중국으로 강제 송환됐고, 촬영됐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이 "공개된 많은 자료, 즉 오픈 소스를 통해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아르트 국장은 "2022년 4월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연간 약 2만 명 정도가 중국으로 강제송환되고, 그리고 처형되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어떻게 이 많은 숫자가 한꺼번에 송환되고 처형될 수 있었는지, 그 과정에서 중국에 머물고 있는 그 인사들의 가족들이 고문당하거나 심지어 해외인사들이 납치당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공개했다.

또 "지난 4~7월 사이 하나의 캠페인에서 밝혀낸 숫자가 23만 명이기 때문에 다른 캠페인을 보면 숫자는 더 많아질 것"이라며 "그중 1~7% 정도만이 합법적인 과정을 거쳐 대사관이나 개인적인 수사를 거쳐 돌아오고, 다수인 90% 이상은 불법적인 방법을 통해 돌아왔다"고 했다.

이어 "중국이 이런 반부패나 반체제 인사를 2014년부터 중점적으로 자국으로 송환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중국은 공안의 이름으로, 나라의 이름으로 불법을 저지르고 있고, 당연히 불법인 것도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 '난통' 공안, '22년 한국에 새로운 모델 연락사무소 만든다'는 문서도"

한국의 한 중식당이 비밀 경찰서로 지목된 데 대해서는 "특별히 코멘트할 건 아니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이 식당 지배인인 왕하이쥔씨가 서울화조센터(OCSC) 주임을 맡으며 '질병 또는 정신질환 등 돌발 상황으로 중국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자국인을 돕는 역할을 했다'는 주장에는 "영사 업무를 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영사 업무는 관련국의 동의하에 서로 사무소를 설립해야 하는데, 중국 비밀경찰은 국제 체제를 위반한 상태에서 설립돼 불법"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인 송환 과정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중국 대법원의 판사였던 한 분이 캐나다로 망명하는 과정에서 중국 법을 공개 비판했더니 중국에서는 그 판사의 누나, 아들, 사업가였던 부인, 누나를 대변하는 변호사까지 모두 구금했다"며 "중국에서는 이 판사가 부패했다는 이유로 가족을 통해 '자발적인 송환'을 압박했고, 이 판사는 돌아가면 어떻게 될지를 알아 돌아가는 걸 거부했다"고 소개했다. 또 "대부분 90% 이상의 경우 가족으로 시작해 억압하고, 중국에서 해외로 사람을 보내 '자발적 송환'이라는 이름으로 요청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에도 중국의 비밀경찰 조직이 있는 걸 확신하냐'는 질문에 보고서를 읽어 줬다. 그는 "난통이라는 도시의 공안에서 공식적으로 발행한 문서에 보면 '우리는 2022년부터 새로운 모델, 그러니까 외국에 있는 중국인을 위한 새로운 모델의 새로운 연락사무소를 만들 것이라며 오스트리아나 한국과 같은 경우를 예로 들었다"며 "여기에는 '경찰과 학생 등을 고용하여 대내적으로 대외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언급돼 있다"고 소개했다.

박민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