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5일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과 "경제 협력의 정치화 반대"를 면전에서 강조했다. 국제 무역에서 중국을 배제하기 위한 미국 주도의 디커플링(탈동조화) 흐름에 휩쓸리지 말라는 압박의 메시지로 풀이된다.
윤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당부했다고 대통령실은 발표했다. 그러나 이날 정상회담 결과를 담은 중국 정부의 자료에는 북핵 관련 언급은 일절 담기지 않았다.
중국 외교부와 관영 중국중앙(CC)TV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윤 대통령과 첫 번째 대면 정상회담을 가졌다. 시 주석은 올해가 한중 수교 30주년이라는 점을 언급하며 "30년의 역사는 한중관계의 건전하고 안정적 발전이 양국 국민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것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시 주석은 "글로벌 산업망과 공급망의 안전, 안정과 원활한 흐름을 보장해야 한다"면서 "경제 협력을 정치화, 안보화하는 데 대해 반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공급망 시장에서 중국을 고립시키기 위해 미국 주도로 출범한 '인도·태평양프레임워크(IPEF)'와 '칩4(한국·미국·일본·대만)동맹' 등 경제협력체에 대해 경계감을 드러낸 것이다. 나아가 협력체에 참여 중인 한국의 향후 움직임과 태도를 주시하겠다는 경고의 뜻도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어 시 주석은 "(한국과 중국의)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정치적 신뢰를 증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략적 소통'과 '정치적 신뢰'는 한중 간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갈등 국면 당시 중국이 한국을 압박하기 위해 사용한 외교적 레토릭(수사)이다. 결국 '한미동맹이 중국을 겨냥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시 주석이 윤 대통령에게 밝힌 메시지인 셈이다.
중국이 내놓은 회담 결과 자료에 북핵 문제 관련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회담에서 북한의 군사 도발을 언급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이자 북한 인접국으로서 중국이 더욱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한국과 중국이) 한반도 문제에 공동 이익을 갖는다"고 답했다고 대통령실은 공개했지만, 중국 발표에선 이 부분이 빠졌다.
시 주석은 14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북핵 문제에 대한 의견을 나눴지만, 회담 결과를 담은 중국의 보도자료에 이 같은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시 주석은 한국과 중국의 협력 분야로 △자유무역협정(FTA) 2단계 협상 가속화 △첨단 기술·빅테이터·녹색경제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국제 자유무역 체계 공동 수호 등을 꼽았다. 그는 "G20 등에서 소통과 조율을 강화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함께 실천하며 지역 평화와 안정의 큰 국면을 수호하길 원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