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내년 사업 계획을 짜는 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 세계 시장에서 받아 놓은 계약 물량이 200만 대가 넘지만, 글로벌 시장이 갖가지 변수 때문에 꽉 막힐지 모른다는 걱정 때문이다. 특히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 악화가 겹치면서 대규모 고객 이탈까지 감지된다. 게다가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대응책까지 마련해야 해, 내년 수익성 확보에 비상등이 켜질까 두렵다.
16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해 보면, 현대차·기아는 2023년 글로벌 시장 판매·매출· 영업이익 목표치를 올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검토 중이다. 당초 양사의 내년 매출 전망치가 약 240조 원, 영업이익의 경우 18조 원 안팎으로 예상됐지만,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하향 조정(매출 약 230조 원·영업이익 약 16조 원)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기아가 실적 전망치를 조정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금리 인상이다. 미 연방준비이사회(Fed·연준)가 기준금리를 계속해서 올리면서, 그 여파가 전 세계로 퍼지고 있다. 한국도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했다. 이로 인해 3, 4개월 전 3%대였던 자동차 할부 금리도 두 배 이상 올랐다. 일부 금융사는 할부 금리가 9%를 넘는다. 주요 시장인 미국에선 아직까지 0~1%의 '초저금리' 상품들이 있지만, 내년부턴 판매가 어려울 것으로 전해졌다.
'일시불' 구매가 적은 자동차 특성상 할부금리 인상은 판매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현대차 100만 대, 기아 120만 대 등 총 220만 대에 달하는 '백오더'(대기 주문량)가 쌓여 있는 현대차그룹으로서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 출시 전부터 수만 대 계약이 쌓였던 '아이오닉5', 'EV6', '아이오닉6' 등 전기차는 구매 취소 요청이 쏟아지고 있다. 아직까진 후순위 대기자가 많아 판매 감소를 피부로 느끼지 못하지만, 자칫 내년부턴 구매 취소 대상 차량이 늘어날지 모른다.
현대차 관계자는 "전기차는 구매 보조금이 선착순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여러 차량을 동시에 계약해서 먼저 나오는 차량만 사고, 나머지는 취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최근에는 내연기관 차량도 대기 기간이 길어지면서 여러 차종을 동시에 계약하는 경우가 많아져 계약 물량에 '허수'가 많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가 내년 성장을 담보하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는 미국의 IRA 때문이다. 최근 미 중간선거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속한 민주당이 사실상 승리하면서, IRA는 원안대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만 생산하는 현대차 '아이오닉 5'(3만9,950달러)는 7,500달러(약 1,000만 원) 보조금을 받지 못하면, 미국에서 만드는 테슬라 '모델3'(4만6,990달러), 포드 '머스탱 마하-e'(4만3,895달러)보다 500~3,500달러 비싸진다.
지난달 현대차·기아는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짓는 공사를 시작했지만, 2025년부터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다. 사실상 내년부터 2년 동안 전기차 보조금 혜택을 기대하기 어렵다. 앨라배마 공장에서 아이오닉 5를 만드는 방안을 두고 노조와 진행하는 협상도 지지부진하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 전까지 전기차 생산 확대가 불가능할 경우 '인센티브'(판매 촉진비) 확대를 검토 중이다. 인센티브로 판매 보조금을 대체하겠다는 셈이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유가와 금리가 오르면서 중산층 이하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떨어지면 자동차 시장은 심각한 침체에 빠질 것"이라며 "대형·고급차 수요는 유지될 수 있지만 중소형차의 경우 공장 가동률이 낮아지고 실적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