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2022년 끝을 향해 가고 있다. 고향 대구의 청년위원회와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으로서 약 5년간의 위원활동을 마치고 얼마 전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받았다. 청년정책조정위원으로서 필자가 가장 관심 있게 들여다보는 부분은 지역 청년의 관점에서 바라본 지방소멸대응 방안이다.
필자가 살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은 해마다 지방소멸위험지수 최상위 지역으로 분류된다. 사실 인구가 230여만 명에 가까운 대구시에 살고 있는 필자로서는 청년이 줄어들고 있다는 체감을 직접 하는 경우가 적다. 자주 가는 카페와 대구의 명동이라 불리는 동성로는 늘 청년들로 붐비기 때문이다. 이리 보아도 청년, 저리 보아도 청년인데 왜 청년이 줄었다고 하는지 도통 의아할 때도 있다. 하지만 도심을 조금만 벗어나 지역을 살펴보면 확실히 청년인구 유출이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지리적으로 1시간 정도 떨어진 경북 의성 춘산면에서 쌀농사를 하는 청년 농부가 있다. 3,000명의 마을 주민 중 청년은 자신과 또 다른 남성 청년, 단 2명이라고 한다.
문득 지방소멸 위기는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한 독자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한 지역에서 20~39세의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이 0.5 이하일 때 소멸위험 지수가 높은 지역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어떤 지역의 청년 여성인구 숫자가 30만 명이라고 가정하고 65세 이상 인구를 70만이라고 한다면 이 지역의 위험지수는 0.42가 된다. 0.5 즉 50% 이하이므로 이 지역의 위험지수는 높은 편이라 할 수 있다. 태어나고 성장해나갈 아이들의 숫자보다 고령인구가 더 많아서 가만히 놓아두면 절대적 인구 비중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인구 구조적 특성을 가진 지역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방이 소멸되고 있다고 하니 가만히 놓고 볼 일은 아니다. 형평을 중시하는 차원에서가 아닌 국가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도 지방소멸은 가만히 놓아두고 바라볼 문제가 아닌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같은 위기의식을 느끼는 청년들이 모여 지방의 살길을 찾고 소멸되지 않기 위한 생존의 길을 모색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 시작은 그런 생각을 하는 청년들이 한데 모여 지방소멸위기 대응에 대한 생각을 더하고 구체화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교육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이라 생각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별 전문가들이 한데 모인다면 피할 수 없는 운명인 지방소멸위기에 좀 더 입체적인 방안으로 대비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도 있었다.
그런 이상과 비전을 가지고 청년아카데미를 호기롭게 시작했지만 정작 그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발적 청년을 모으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지방소멸위기 대응이라는 문제의 심각성에 동질감을 느끼고 자발적으로 함께하리라는 가정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하지만 교육에 참가한 청년들과 함께하면서 다시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지방소멸위기 대응이라는 공통의 주제를 청년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그 위기의 현황과 대응방안을 토론하는 모임을 거듭할수록 청년 참가자들의 눈빛이 달라짐을 느꼈다. 어려운 문제는 역시 머리를 맞대고 마음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