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피해자, 정부 갈등·주변 비난에 정신질환 위험… 초기 정부 대처 중요"

입력
2022.11.06 15:53
"사회재난 피해자 자연재해보다 정신질환에 취약
재난 후 2차 스트레스 겪지 않게 정부 역할 중요"

이태원 참사 피해자들이 정부, 지방자치단체, 이웃과의 갈등에 처할 경우 2차 스트레스에 노출돼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참사 초기 3개월까지는 각별한 관리가 필요한 시기로, 명확한 진상규명과 두터운 지원 등 정부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6일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재난 피해자 정신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2차 스트레스 요인' 연구에 따르면 재난 자체로 인한 1차 스트레스뿐 아니라 재난 발생 후 간접적으로 겪는 2차 스트레스도 정신질환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부상자 등에 대한 심리치료를 담당하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의 심민영 센터장이 교신저자로 참여한 연구로, 2012~2017년 태풍, 호우, 지진, 화재 등 재난 피해자 1,39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정신질환 발병률은 홍수·지진 등 자연재해보다 화재 등 사회재난을 당했을 때 더 높았다. 사회재난 피해자의 발병률이 자연재해 피해자보다 6.25배 높았다. 사회재난 피해자들은 재난이 끝난 이후에도 정신질환에 걸릴 위험이 컸다. 대상자 중 11.2%는 재난 후 정신질환이 발병했다. 불안장애(46.7%), 우울장애(39.2%)가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재난 3개월 전까지는 정신질환을 겪지 않았다.

정부·지자체·이웃과 갈등 시 정신질환 발병률 5배 높아

직접적인 재난에 따른 1차 스트레스를 넘겼다고 해도 피해자들이 뒤늦게 정신질환에 걸리는 주된 이유는 2차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주변의 따가운 시선과 비난, 정부나 지자체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좌절감이 이들을 절망에 빠트리는 것이다. 2차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 중 정부·지자체·이웃과의 갈등이 있는 경우 정신질환 발병 위험이 5.05배 높았다. 구호나 복구에 대한 신뢰성이 없는 정보를 받았을 때 3.32배, 국가의 보건의료 서비스 지원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2.16배 발병 위험이 높았다. 이 같은 2차 스트레스 요인은 1차 스트레스나 인구통계학적 요인보다 정신질환 발병 위험이 더 컸다.

심 센터장은 이태원 참사가 사회재난이고, 피해자들이 사회적 위험 요인에 노출돼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난이나 혐오는 피해 당사자들의 회복을 가로막는 2차 가해"라며 "지금은 사회 전반적으로 피해자를 위로하고 돕는 화합과 회복의 메시지가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피해자들의 심리 회복에 참사 이후 초기 1~3개월이 중요하다며, 이 기간 정부의 피해자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개인차가 있지만, 보통 1, 2년에 걸쳐 회복이 진행된다. 심 센터장은 보고서를 통해 "재난 후 심리적으로 개입할 때 2차 스트레스 요인이 있는지 살피면 재난 경험자의 고통이 지속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며 "1차 스트레스 요인만큼 2차 스트레스에도 대응하는 중장기적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류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