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대출 증가율 세 배 급증, 상환 능력은 취약"

입력
2022.10.31 14:30
전경련, 기업대출 부실 경고..."방지책 마련해야"


기업대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보다 연평균 세 배 가까이 증가율을 보인 반면, 빚 갚을 능력은 더욱 취약해져 부실 경고등이 들어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1일 공개한 '기업대출 부실징후 및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이전 10년(2009~2019년) 동안 기업대출은 연평균 4.1% 증가하며 2019년 말 976조 원으로 집계됐다.

이 기업대출은 코로나19 유행을 거치면서 빠르게 증가했다. 2022년 상반기 2년 반 전보다 35% 증가한 1,321조 원에 이르렀다. 연평균 증가율이 세 배 가까이 뛴 12.9%에 달한 결과다.

전경련 측은 이런 대출 증가 속도를 기업들이 감당하지 못하는 부실 징후가 보인다고 봤다. ①대출금액 급증 ②상환 능력 악화 ③높은 변동 금리 비중 ④부동산 등 취약 업종으로의 대출 쏠림 현상 ⑤비은행 기관을 통한 대출 증가 등의 부정적 요인이 나타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기업대출 구조 취약"


실제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비율)이 2019년 37.7%에서 2022년 39.7%로 높아져 기업들 상환 능력이 취약해졌다.

또 가파른 금리 상승에, 기업대출의 72.5%가 변동금리(지난달 기준)여서 부담이 더욱 가중되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올해 상반기 대출을 많이 받은 업종은 부동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업 등 취약·경기 민감 업종이며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비은행기관 기업대출이 지난 2년 반 동안 세 배 가까이 증가한 점도 문제라고 전경련은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시중에 유동성이 풍부해졌다가 금리가 인상되면서 기업들은 자금난, 신용 경색 등을 겪었는데, 지금은 그때보다 금리가 더욱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며 "금리 인상 속도 조절, 세 부담 경감 등의 조치가 필요하고, 유사시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한 방안도 사전에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박관규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