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 충돌할 위험성이 있는 소행성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이동경로를 바꾸는 지구 방어 실험이 성공했다. 인류가 천체의 움직임을 바꾼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11일(현지시간)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결과, 소행성 다이모르포스 궤도의 변경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름 160m 크기의 다이모르포스는 그리스어로 쌍둥이를 뜻하는 디디모스를 11시간 55분 주기로 공전한다.
빌 넬슨 나사 국장은 실험을 통해 다이모르포스의 공전 주기를 11시간 55분에서 11시간 23분으로 단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충돌로 공전 주기가 10분가량 짧아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데이터 분석 결과 32분이 단축된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
넬슨 국장은 "이것은 행성 방어와 인류에게 분수령의 순간"이라며 "NASA가 행성의 수호자라는 점을 세계에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DART 프로그램 담당 과학자인 톰 스태틀러도 “우리는 수년 동안 이것을 상상해왔고 마침내 현실이 됐다”고 말했다.
지난해 11월 말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된 자판기 크기의 DART 우주선은 지난달 26일 지구에서 약 1,120만㎞ 떨어져 있는 소행성 다이모르포스에 시속 2만2,530㎞(초속 6.25㎞) 속도로 충돌했다.
디디모스와 다이모르포스는 지구에 4,800만㎞ 이내로 접근하는 지구 근접 천체(NEO)로 분류돼 있지만 지구충돌 위험은 없으며, 이번 충돌실험으로도 그 가능성은 바뀌지 않을 것이라고 나사는 전했다. 이번 결과는 실험실 내 충돌 실험을 통해 마련한 컴퓨터 모델을 개선해 지구 충돌 코스로 다가오는 소행성으로부터 지구를 방어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실험에는 약 3억 달러(4,200억 원)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계에는 크기·모양·성분 등이 각기 다른 100만여 개의 소행성이 있는데, 나사는 가장 위험도가 큰 지름 1㎞ 이상 소행성을 중심으로 약 3만 개 목록을 확보하고 소행성 충돌 위험으로부터 지구를 방어하기 위한 전략을 연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