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균제 듣지 않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한국 등 아태지역 가장 위험

입력
2022.10.11 17:50

어린이에게 항생제가 전혀 듣지 않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ㆍ태평양 지역에서 ‘내성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어린이에게서 가장 흔한 세균성 폐렴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3~7년 주기로 유행하며 지역 사회 폐렴의 40%까지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1차 항균제인 ‘마이크로라이드’를 투약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2011년 이후 이 약제에 듣지 않는 이른바 ‘항균제 내성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이 확산되고 있다.

항균제가 듣지 않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무기폐(폐가 쪼그라듦), 흉막 삼출(흉막에서 체액이 나오며 숨이 차는 병), 기흉 같은 다양한 폐 합병증은 물론, 스티븐-존슨증후군ㆍ수막뇌염ㆍ심근염 같은 심각한 합병증 발생을 늘리고 직간접적 의료비 증가로 이어진다.

김경훈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팀은 지난 20년간(2000~2019년) 연구된 2만7,408개 샘플(선행 연구 153여 개)을 바탕으로 항균제 내성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비율을 조사하는 메타(문헌 고찰)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전체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중 마이크로라이드에 내성 비율은 전 세계적으로 2000년 18.2%에서 2010년 41.0%, 2019년 76.5%로 지속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서태평양 지역의 내성 비율이 전체 기간 평균 53.4%로, 동남아(9.8%)나 아메리카(8.4%)보다 월등히 높았다.

서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국, 일본, 대만, 한국 순으로 항균제 내성 비율이 높았다.

연구팀은 또 이런 현상이 ‘A2063G’로 불리는 변이와 가장 연관성이 크다는 점을 비롯해 어른보다 어린이에게서 더 흔하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김경훈 교수는 “수많은 선행 논문을 통합해 대중적으로 생소한 항균제 내성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발병 추세와 그 위험도를 알리는 연구로서 의미가 깊다”며 “코로나19 대유행을 교훈 삼아 예방ㆍ치료 전략을 미리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JAMA Network Open) 최신 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