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모빌리티, 1년 전 폐지 논의하기로 한 '대리운전 프로 서비스' 버젓이 운영 중

입력
2022.10.04 04:30
2면
'프로 서비스', 돈 내면 우선 배차권 지급하는 요금제
지난해 국감서 "노조와 상생안 약속...협상 지지부진"
기사들 "울며 겨자먹기로 카카오에 비용 낼 수밖에"


카카오모빌리티(카모)가 지난해 불공정 논란으로 노조와 폐지를 논의하기로 한 '카카오T 대리 프로서비스'를 1년이 지난 지금도 버젓이 운영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이 서비스는 이용 요금을 내는 대리기사에게 차를 먼저 배정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국감서 시장 독점적 위치에 있는 플랫폼 사업자가 알고리즘을 조정해 유료 서비스 가입자에게만 특혜를 주는 것은 불공정 거래 행위라는 지적이 나왔다. 4일부터 열리는 이번 국감에서도 관련 질의가 집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카모는 카카오T대리 앱에 가입한 기사에게 카카오 콜 외에도 제휴사 콜을 매일 2개씩 최우선으로 지급하는 요금제 '프로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회사 측은 이를 월 2만2,000원에 팔고 있다. 카카오T대리 앱에 가입한 기사라도 프로서비스 가입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도착지 중심으로 우선 배차권을 받을 수 있다.



"카카오에 건당 20% 수수료에 월 2만2,000원 요금 내야"


대리운전 특성상 우선 배차권은 필수라고 기사들은 호소한다. 김주환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 위원장은 한국일보와의 통화에서 "기사들이 퇴근할 때 대중교통도 끊기니까 자기 집 근처로 가는 콜을 받아 가려고 한다"며 "대부분 기사들이 그럴 때 우선 배차권을 쓴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대리 업체는 성수기(오후 10시~오전 2시)에 업무를 하면 우선 배차권을 주고 있다. 하지만 카모처럼 요금을 받고 파는 곳은 없다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결국 카모는 대리기사들에게 배차 한 건당 20%의 수수료와 함께 프로서비스 월 이용 요금까지 받는 셈이다.

문제는 대리운전 시장에서 카모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카모는 카카오T를 통해 직접 콜을 받는 동시에 제휴를 맺은 전화 대리 업체를 통해 받은 콜을 모아서 전달하는 플랫폼사 역할도 한다. 대리운전 시장은 전화 콜과 앱 플랫폼이 각각 80%, 20%를 차지하는데, 앱 플랫폼 시장은 카카오T가 99%를 독점하고 있다. 전화 콜 시장은 지난해 1위 업체 1577대리운전 등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몸집을 키우고 있다. 업계에서는 카모가 전체 시장에서 40% 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고 입을 모은다.



'선수'가 '심판'까지 보는 카카오T


이에 정치권과 대리운전 업계에선 카모의 프로서비스를 두고 꾸준히 비판해왔다. 지금은 월 2만 원대 요금제이지만 카모가 시장 전체를 장악할 경우 세분화한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다는 지적 때문이다. 카모는 지난해 호출 비용을 내면 일찍 택시를 잡을 수 있는 '스마트호출' 서비스 요금을 올리려다 거센 비판을 받으며 계획을 철회했다. 처음에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했다가 시장을 장악하면 수익을 실현하는 플랫폼 기업의 전형이었다.

결국 지난해 10월 국정감사 기간 중 장철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주최로 카모와 전국대리운전노조는 '성실교섭 선언식'을 열고, 프로서비스 제도 폐지 등의 내용을 포함한 단체 교섭을 진행하기로 약속했다. 3월 단체 교섭은 시작했지만 입장 차가 커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단체교섭 자리에서 회사가 문제점은 인정하는데 당장의 수익 때문인지 계속 시간을 끌고 있어 답답한 상황"이라며 "환경노동위원회 국감 참고인으로 나가 관련 문제를 집중 제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노조 측에 여러 차례 중재안을 제시하며 꾸준히 협의해왔고 계속 대화를 이어가는 중"이라며 "여러가지 방안을 두고 교섭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하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