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딸'과 '친명 지도부' 좌우 거느린 이재명號... 사법리스크가 최대 관건

입력
2022.08.29 04:30
6면
압도적 지지받은 '이재명 대표' 체제 과제
①당 통합 ②비전 제시 ③사법리스크 해소

8·28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개딸'로 불리는 강성 당원들의 압도적 지지로 낙승한 이재명 신임 대표 앞에는 적지 않은 시험대가 놓여 있다. 전당대회 기간 이 대표를 둘러싼 논란들은 이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이 대표가 검찰 기소 시 대표직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둔 당헌 개정 과정에서 불거진 친이재명(친명)계와 비이재명(비명)계 간 갈등 해소가 대표적이다. 대선과 6·1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에 등 돌린 민심을 이 대표의 양대 우군인 개딸들과 친명계 최고위원들로 회복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하다. '법인카드 유용' 혐의를 받고 있는 부인 김혜경씨 경찰 소환 등을 포함한 사법리스크도 이 대표가 임기 말까지 순항하기 위해 반드시 극복해야 할 파도다.

과제① 당 통합... 갈라진 '친명 대 비명'

지난해 대선후보 경선과 이번 전당대회로 이 대표는 민주당 주류로 우뚝 섰다. 다만 이면에 있는 사당화 및 공천 학살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계파 갈등을 초래해 당 통합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

특히 이 대표가 총선 공천권을 무기로 견제 세력인 비명계 인사들을 겨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대선후보 선출 전까지 비주류 인사로 '여의도 정치'에 별다른 빚이 없는 이 대표로선 언제든지 쇄신을 명분으로 대대적인 인적 개편 카드를 꺼낼 수 있기 때문이다.

비명계에선 6·1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앞서 이 대표가 자신이 영입했던 박지현 비상대책위원장을 압박해 '셀프 공천'한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전당대회 경쟁자였던 박용진 의원이 지난 19일 이 대표를 겨냥해 "셀프 공천 때문에 사천(私薦)의 우려가 빗발치는 것은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라며 "공천권을 내려놓고 사당화 노선과 결별하자"고 주장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친명계는 기우라고 반박하고 있다. 정성호 의원은 지난 5일 YTN 라디오에서 "민주당 대표가 무슨 공산국가의 독재자인가"라며 "당대표가 자의적으로 특정인을 배제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과제② 민심과 괴리... 강성 팬덤은 '양날의 칼'

팬덤정치는 이 대표에게 양날의 칼이다. 대선 패배 후 당 쇄신 과제로 꼽힌 강성 팬덤은 이 대표가 재기할 수 있었던 배경인 탓이다. 이들은 이번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방탄용' 논란이 불거진 당헌 80조 개정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렸고, 전략적 분산투표로 친명계 주자들을 최고위원 선거에 대거 당선시켰다. 비록 최종 문턱에서 좌절됐지만 당 최고 의사결정 권한을 기존 전국 대의원의회에서 권리당원 전원투표(전당원투표)로 바꾸자는 청원도 이들이 주도하고 있다.

이 대표와 친명계는 당심(권리당원의 요구)과 여심(여의도 국회의원의 생각)의 괴리를 들어 정당 민주주의 확대를 명분으로 한 전당원투표 도입에 긍정적이다. 반면 비명계에선 개딸들에 의해 당의 주요 의사결정이 휘둘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당장 지난 4월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과정에서 '꼼수 탈당'한 민형배 무소속 의원 복당 여부가 시험대가 될 수 있다. 이 대표의 강성 지지층은 민 의원의 복당을 요구하고 있지만, '탈당 1년 이내 복당 금지'를 규정한 당규를 감안하면 내로남불이란 지적도 많다. 문재인 정부 기간 중도층 유권자들이 민주당에 등을 돌린 이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 강성 지지층의 요구만을 따른다면 민심과 더욱 거리가 먼 선택을 하는 셈이다. 아울러 최근 정부·여당의 내홍에도 민주당이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하는 배경에도 민심이 바라는 이슈나 가치 제시에 소홀히 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많다.

이 대표도 이를 의식한 듯 강성 지지층만 바라보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지난 24일 경기 지역 당원·지지자들과 만나 "우리가 적극 지지층만 보고서 정치할 수는 없다"며 "적극 지지자 입장에서 보면 '왜 저것도 못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전체 공감을 늘려 가는 한 과정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제 ③사법 리스크... '새 팩트' 드러나면 치명타

수사당국이 키를 쥐고 있는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도 넘어야 할 산이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과 변호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하고 있고, 경찰도 △성남FC 후원금 의혹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합숙소 비선캠프 전용 의혹 △무료 변론에 따른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 △백현동 옹벽 아파트 개발 특혜 의혹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변수는 '새로운 팩트'다. 향후 검·경 수사 과정에서 새로운 의혹이 불거진다면, 이 대표의 도덕성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민주당도 정부·여당과의 민생을 위한 정책 대결보다 이 대표 보호에 당력을 소진할 수 있다. 그러나 검·경이 '이재명 망신주기'식의 무리한 수사를 할 경우 '탄압받는 제1야당 대표'라는 이미지를 확보한 이 대표가 반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강진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