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이자 하청노조 파업 종료 이틀째인 24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소선소는 1독(dock) 선박 건조 재개 준비 작업과 2독 선박 진수로 분주했다. 예년 같았다면 원청과 하청 직원 모두 2주 동안 전체 휴가에 들어가 일을 내려놓았지만, 올해엔 1독을 점거한 하청노조 파업으로 약 5주가량 작업이 멈춘 탓에 모자란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선 네 척을 한꺼번에 건조할 수 있는 옥포조선소 핵심 생산시설인 1독 점거가 풀리자, 대우조선해양은 물론 하청업체 관계자들도 주말을 잊고 바삐 움직이며 시간과의 전쟁에 돌입했다. 당장 파업 종료 이튿날인 23일, 30만 톤(t) 규모의 초대형 원유 운반선을 바다에 띄우는 진수식을 마치고 또 다른 선박 건조 작업 준비에 나섰다. 정해진 시간을 지키지 못해 일종의 벌금 개념인 지체보상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납기 준수율 100%를 지켜 기업 신뢰도를 유지하겠단 의지도 높다.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보통 선박 건조 계약 때 조선소 쪽 귀책 사유로 지연되면 조선소가 발주사에 지체 보상금을 지급하는 조항을 포함한다. 대우조선해양 측은 51일(점거 농성은 31일) 동안 하청노조 파업으로 매출 감소 6,468억 원, 고정비 지출 1,426억 원, 지체 보상금 271억 원까지 총 8,165억 원의 피해를 보게 될 것으로 자체 추산하고 있는데, 현재 작업이 밀린 선박 11척에 대한 건조가 예정보다 미뤄지면 하루에만 200억 원 이상이 불어난다고 주장했다.
이날 진수를 마친 원유 운반선만 해도 기존 선박 인도 예정일인 11월까지 후반 작업 및 시운전을 마무리하기 빠듯하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다만 통상 한 달 정도의 인도 유예 기간이 있어, 납기일로부터 한 달 뒤(12월)까지만 선박을 인도해도 지체 보상금을 내지 않는다"고 전하면서 "이를 감안해도 건조 기간을 최소 1주일은 앞당겨야 하는 상황이라 주말에도 경영진과 많은 현장직 인력이 출근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해양에 따르면, 주말 중 독 청소, 후속선박 건조 작업 준비 등을 마치면 25일 특근 인원을 확정해 26일쯤부터 1독 건조 작업을 본격 재개한다. 총 2주 동안 하계 휴가 가운데 첫 주는 대체 휴무 소진, 나머지 한 주는 연차 소진 개념인데, 원청과 하청업체 현장직 대부분은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대부분 대체 휴무를 생략하고 정상 근무 체제를 가동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마음이 바쁘긴 하청업체도 마찬가지다. 업계 관계자는 "하청업체들도 밀린 일감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휴가를 반납하는 회사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