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소년' 범행 추측 글에... 이수정 "상당히 설득력 있어"

입력
2022.06.08 16:00
'불량 고교생이 버니어캘리퍼스로 범행'
이달 초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주장에
이수정 "흉터에 가장 부합하는 흉기 제시"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개구리소년' 사건 범행 추측 글에 대해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상당히 설득력 있는 가설"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7일 방송된 KBS '크리스탈마인드'에서 "흉기(범행 도구)만 얘기했으면 설득력 있다고 생각 안 했을 수도 있는데 어떤 경위로 (사건이) 날 수 있는 건지 정황을 설명했다"며 "하나의 픽션이나 가설로만 얘기하는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개구리소년 사건은 지난 1991년 3월 26일 당시, 대구 달서구 성서초등학교에 다니던 어린이 다섯 명이 도롱뇽 알을 주우러 간다고 마을을 나섰다가 11년 뒤 마을 근처 와룡산에서 백골로 발견된 사건이다. 경찰이 단일 사건 최대 규모인 35만 명의 수사 인력을 투입했음에도 아직까지 미제 사건으로 남아 있다.

"불량 학생들이 환각 상태에서 버니어캘리퍼스로 범행 가능성"

지난 1일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판'엔 '나는 개구리소년 사건의 흉기를 알고 있다'는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의 추측을 요약하면 '공업계 고등학교를 다니는 불량 학생들이 본드를 흡입, 환각 상태로 학교에서 쓰는 버니어캘리퍼스로 범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다. 버니어캘리퍼스는 두께, 지름 등을 측정하는 기구다.

작성자는 피해자들의 두개골 사진을 근거로 버니어캘리퍼스가 흉기로 사용됐을 것으로 추측했다. 그는 "같은 크기의 두개골을 직접 뚫지 못한 데미지(상처) 여러 개가 한 곳에 집중됐다"며 "세게 마구잡이로 쳐도 저렇게 밖에 나올 수 없는 도구였다는 소리"라고 했다.

그는 산에 버니어캘리퍼스를 들고 올라갈 확률이 가장 높은 인물로 "공업 등 기술 분야 고등학교 학생"을 꼽았다. 특히 "신입생 때 티(T)자와 버니어캘리퍼스를 많이 들고 다닌다"고 했다.

그는 "그중 불량한 학생들 여럿이 산속에서 본드를 불고 있다가 피해 아이들을 마주쳤을 것이고 환각 상태에서 돈을 뜯어내려다 범행을 저질렀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는 무리 중 일부는 환각 상태가 아니었기 때문에 피해 어린이들이 매장됐을 것이란 가설도 더했다. 현재 이 글은 삭제된 상태다.

이수정 "글 중에서 '흉기' 추측한 대목 가장 눈여겨봐야"

이 교수는 이날 작성자의 주장 중 가장 눈여겨봐야 할 부분으로 '흉기'를 꼽았다. 그는 "머리에 남은 흉터를 보고 총기 끝에 끼워 쓰는 칼날 같은, 군대에서 쓰는 예기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그러나 "깊게 파인 자국이 칼이라고 하기에는 부합하지가 않는 측면이 있었다"며 "(작성자가) 흉터에 가장 부합하는 흉기를 제기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작성자의 설명에 대해 "사실 좀 감동을 받았다"고도 말했다.

'동네 불량 학생 여러 명이 저지른 우발적 범행'이라는 주장에도 "흉악한 어른일 것이다고 생각했는데 이 글이 올라오고 난 뒤에 생각해 보니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피해자가 5명이고 옷을 스스로 벗어서 발목과 손목을 묶은 자국이 있다는 것은 "여러 사람이면 성립 가능한 요건"이라며 "가설에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1991년 당시 청소년 비행 중 본드 흡입이 실제로 많았다며 작성자가 '본드에 의한 환각설'을 제기한 것도 신빙성을 더한다고 말했다.

유가족 "'진상규명위원회 설치, 더 늦기 전에 진실 밝혀야"

개구리소년 사건과 직접 연관된 유가족들은 현재도 진상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3월 28일 대구 달서구 와룡산 선원공원에서 열린 31주기 추모제에서 유가족 대표는 "'개구리소년사건진상규명위원회'를 설치해 더 늦기 전에 진실을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올해 초 사건 수사 실무를 책임졌던 김영규 전 대구경찰청 강력과장이 "타살이 아니라 저체온증으로 숨졌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됐다. 김 전 과장의 주장은 당시 취재기자였던 김재산 국민일보 대구경북본부장이 올해 3월에 낸 책 '아이들은 왜 산에 갔을까'에 실렸다.

윤주영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