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양육비 부담이 가장 큰 나라로 꼽혔다.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아이를 키우는 데 돈이 가장 많이 드는 국가라는 의미다. 중국은 가처분소득(소득에서 세금, 이자부담 등을 제외한 실제 소비할 수 있는 금액) 대비 양육비가 가장 높은 나라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 아기 울음소리가 줄어드는 추세이긴 하지만,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는 높은 양육비 탓에 혼인과 출산을 기피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현지시간) 미 CNN방송은 미국 투자은행 제퍼리스금융그룹(JEF)을 인용, 출생 후 18세까지 아이를 기르는 데 드는 비용은 한국이 1인당 GDP의 7.79배(2013년 기준)로 14개 분석 대상국 중 가장 높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이 6.9배를 기록했고, 영국(5.25배), 일본(4.26배), 미국(4.11배), 독일(3.64배) 등의 순이었다. JEF는 지난 2월 중국 베이징 싱크탱크 유와인구연구소가 내놓은 데이터를 활용해 이 같은 결과를 내놨다.
평균 가처분소득 대비 양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은 14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다만 중국은 절대 금액만 놓고 보면 양육비가 가장 적게 드는 나라로 꼽히기도 했다. 벌어들이는 돈에 비해 아이를 키우는 데 과도하게 지출하고 있다는 의미다.
JEF는 한국과 중국의 양육비 부담이 큰 이유를 높은 교육ㆍ보육비, 낮은 보육 활용 가능성에서 찾았다. 사교육비는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아이를 맡길 데도 마땅치 않다는 얘기다. JEF는 중국의 경우 아이를 18세까지 키우는 데 약 7만5,000달러(9,210만 원)가 든다고 소개했다. 대학까지 졸업시키려면 여기에 추가로 2만2,000달러가 더 든다. 대학 교육비만 놓고 보면 학비가 비싸기로 악명 높은 미국에 비해 적은 수준이다. 하지만 미국 등 서방은 자녀가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고 추후 갚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중국은 부모가 이를 떠안아 양육비에 반영되는 구조라고 JEF는 설명했다.
양육비 부담 탓에 중국 등 아시아 국가 출산율이 더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CNN은 “서양 국가 부부는 2, 3명의 자녀를 원하지만 동양 부부는 그 숫자가 더 적다”며 “지금도 중국인 부부는 높은 양육비 때문에 한 명 이상의 자녀를 갖기 꺼린다”고 설명했다. 아시아 국가의 혼인 건수 역시 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은 2020년 기준 0.84명으로 이미 전 세계 최저를 기록했는데, 더 하락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