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억으로 충분" "5000억 미만"... 尹측, 용산 이전 비용 '고무줄'

입력
2022.03.22 19:30
4면

“5,000억 원을 주면 500억 원 범위 내에서 쓰고 4,500억 원 돌려드리겠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집무실 용산 이전 계획을 총괄하는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은 21일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전 비용과 관련해 이렇게 말했다. 국방부가 청사 이전 비용으로 5,000억 원 이상으로 추산했다는 얘기가 나오자, 이를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①국방부가 합동참모본부(합참) 건물로 옮겨가고 ②국방부 청사를 재단장하고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을 이곳으로 이전하는데 496억 원으로 충분하다"는 윤 당선인의 주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윤 의원은 “(이전 외) 다른 비용은 들지 않는다”고 못박았다.

하지만 윤 의원과 함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팀장을 맡고 있는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의 얘기는 미묘하게 다르다. 그는 22일 “471억 원(공관 리모델링 비용 25억 원을 포함하면 496억 원)은 순수하게 청와대 집무실을 국방부로 이전하는 데 드는 비용”이라고 했다. 예산 집행 권한이 없는 대통령 당선인 기간엔 예비비 496억 원으로 당장 급한 이사를 끝내고, 이전에 따른 합참의 남태령 수도방위사령부 이전, 부대시설 설치 등 추가 비용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따져보겠다는 것이다. 그는 “전체적으로 아무리 들어가도 5,000억 원 미만으로 들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처럼 ‘윤석열 인수위’ 내에서도 메시지가 오락가락하는 건 이전 비용 총액을 산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가령 윤 의원은 합참의 남태령 이전 예산(윤 당선인 측 추산 1,200억 원) 등은 집무실 이전 비용에 포함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다. 집무실 이전과 관계 없이 평시ㆍ전시 작전지휘체계 일원화 방침에 따라 언젠가는 합참이 남태령으로 옮겨갈 수밖에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윤 당선인이 20일 이전 비용으로 496억 원을 언급하며 “1조 원, 5,000억 원 이런 얘기들이 근거가 없다”고 단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반면 국민의힘 관계자는 “집무실 이전에 따른 연쇄 수반 비용을 모두 배제하고 딱 ‘이사’ 비용만 말하는 걸 국민이 납득하겠느냐”며 “중장기 예산 소요액과 산출 근거를 상세하게 공개하는 게 맞다”고 했다.

집무실 이전에 필요한 재원 규모는 나날이 불어나고 있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22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윤 당선인 측이 합참 이전 비용으로 1,200억 원을 추산한 데 대해 “훨씬 많이 든다”고 했다. 그는 합참 청사를 2010년 신축할 당시 1,750억 원이 들었다며 “물가상승률, 근무자 숙소 신축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3,000억 원이 필요하다는 얘기도 나온다. 서 장관은 또 국방부를 합참 건물과 별관(구청사) 등 8곳으로 분산 이전했다 향후 통합하려면 420억 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박준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