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욱 국방장관 "두 달 내 국방부 이전, 정상 절차라면 안 할 것"

입력
2022.03.22 12:07
"너무 빠른 시간에 검토 없이 추진"

서욱 국방부 장관이 22일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는 윤석열 당선인 계획에 대해 “너무 빨리 진행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서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장관이 결심하고 수행하면 두 달 안에 국방부의 영내 이전이 가능하느냐’는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정상적 절차라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식에 맞춰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고 여러 차례 공언했다. 그 전까지 국방부는 옆 건물인 합동참모본부 청사로 옮겨야 한다.

서 장관은 오전 내내 대통령 집무실 조기 이전에 따른 부작용을 작심 토로했다. ‘용산 이전에 왜 반대 여론이 높으냐’는 질문에도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너무 빠른 시간 안에 검토 없이 배치 조정되는 데 대한 우려가 많은 것 같다”고 거침 없이 답변했다.

신원식 국민의힘 의원이 “전시 상황 데프콘(방어준비태세)2가 발령되면 모든 부서가 강남 모처 산 밑 벙커로 들어가지 않느냐. 안보 공백이 발생한다고 보면 안 된다”고 주장하자, 서 장관은 “군사적으로, 물리적으로 어려움이 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사ㆍ행정 정리에 5월 10일 전까지 빠듯하지만 최소한도는 할 수 있다’는 국민의힘 측 지적에도 “두 달이라면 할 수 있지만 요구 받는 시간이 훨씬 짧아 애로사항이 있다”고 강조했다.

서 장관은 또 ‘정권 이양기 안보 공백과 허점에 따른 국민 피해의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느냐’는 질의에 “현재 지휘권을 갖고 계신 분”이라고 답했다. 그는 “군사적 관점에서 보면 문재인 대통령이 국군통수권자로 임무를 수행하는 기간과 그 이후 기간을 명확하게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퇴임 전까지 안보에 문제 생기면 문 대통령이 최종 책임을 져야 하는 만큼, 섣부른 청사 이전은 부적절하다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으로 해석됐다.

정준기 기자
박재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