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1만 명을 넘어섰다.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에 비해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확실히 낮다. 하지만 확진자가 워낙 많다 보니, 오미크론 확산 이후 사망자의 절대 숫자 자체는 급증하고 있다. 의료 현장에선 급증하는 환자로 인한 의료 체계 혼선 때문에 위급환자 관리가 부실해지고, 이 때문에 사망자 규모가 더 커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1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사망자는 251명으로, 그간 숨진 누적사망자 수는 1만395명을 기록했다. 누적 사망자 수는 지난 12일 1만 명을 돌파했고, 2020년 2월 20일 첫 사망자가 발생한 지 2년 1개월 만이다. 당분간 사망자 수는 계속 폭증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0일 이후 나흘 연속 하루 사망자 수가 200명을 넘기고 있다.
사망자 증가 추이를 보면 '치명률은 낮지만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의 위력을 실감할 수 있다. 2020년 2월 첫 사망자 발생 이후 5,000명(지난해 12월 23일)에 도달하는 데 걸린 기간은 703일이지만, 5,000명에서 1만 명으로 늘어나는 데는 불과 79일밖에 걸리지 않았다.
델타 변이로 인한 병상 대란이 벌어졌던 지난해 말에는 하루 사망자가 50~100명 사이였지만, 최근 10일간 사망자는 2,001명으로 하루에 200명씩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델타 때보다 월등하게 많은 사망자 수다. 당시 확진자 수가 7,000명 규모였던 데 비해 지금은 30만~40만 명대로 확진자 규모가 50배 정도 늘었기 때문이다.
신규 확진자 규모가 30만~40만 명대로 늘어나고 있어 사망자 규모도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확진자 규모를 40만 명으로 가정하고, 여기에 최근 치명률인 0.16%를 반영하면 하루에 640명이 사망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오미크론 환자 급증으로 의료 대응 체계의 허점도 곳곳에서 노출되고 있다. 이날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21개월 된 아기가 코로나 확진 뒤 상태가 악화됐음에도 병상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호소가 올라왔다.
이 내용을 보면 ①119를 통해 인근 병원에 연락해봐도 소아 전담 병상이 없고 ②인근 종합병원에는 중환자 병상이 만실이었으며 ③보건소에서는 PCR 양성이 나와야 병상을 알아봐 줄 수 있다고 했고 ④관할 광역 지자체 내에서만 병상 배정이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다는 것이다.
이 사례만 해도 △소아, 분만, 투석 등 특수 병상 부족 문제 △중환자실 여력 한계 △검사 체계 이원화에 따른 위급 환자 병상 배정 비효율 △지역 간 의료 전달 체계 분절 등의 문제점이 고스란이 담겨 있다.
이에 대해 방역당국 측은 "보건소가 아니라 이달 6일부터 가동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로 연락했으면 바로 권역 내 다른 병원으로 배정이 됐을 것"이라며 "센터를 가동한 지 얼마 안 돼서 병원이 잘 몰랐던 모양"이라고 설명했다. 즉 현장에선 새로 바뀐 병상 배정 절차가 익숙하지 않고 환자나 보호자는 제대로 설명을 듣지 못해 불안한, 혼란스러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초기 의료대응 강화를 위해 14일부터는 의료기관에서 실시하는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RAT) 결과 양성이 나오면 바로 확진자로 분류한다. PCR 검사를 한번 더 받는 시간에 치료할 수 있도록 한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계기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먹는 치료제만 효율적으로 사용해도 사망자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는데, 지금은 병원이 치료제를 신청해도 정부가 약을 풀지 않고 있어 조기 치료를 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최근 소아 환자 급증세에 대응하기 위해 14일에는 5~11세 백신 접종 계획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