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많이 마실수록 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국내 암 생존자 4명 중 1명 이상이 폭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폭음을 자제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었다.
심재용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16~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1만1,388명을 대상으로 폭음ㆍ과음 등 고위험 음주와 사회ㆍ경제적 요인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에 따르면, 암환자의 27.2%는 폭음, 5.3%가 과음을 하고 있었다. 암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폭음과 과음 비율은 각각 53.9%·10.5%다.
연구에서 폭음은 한 달에 적어도 1회 이상 한 자리에서 남성이 술을 7잔(또는 맥주 5캔), 여성이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 마시는 것을 뜻한다. 과음은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이 남성 30g 이상, 여성 20g 이상인 경우에 해당된다.
심재용 교수는 “암 진단 후에도 절반은 고위험 음주를 지속한다는 뜻”이라며 “음주가 암 발생 위험을 높이고 생존율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고 했다. 특히 구강ㆍ인두ㆍ식도ㆍ간ㆍ췌장ㆍ유방ㆍ대장ㆍ폐ㆍ전립선ㆍ신경계ㆍ피부 등에 생기는 암은 알코올과 연관성이 밝혀져 알코올 관련 암으로 통한다.
암 환자 가운데 특히 술을 끊지 못하고 폭음하는 사람은 저소득층이었다. 암 진단 후 폭음 비율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2.2배, 과음 비율은 3.5배 각각 높았다.
암에 걸리지 않은 성인에서는 직업 있는 사람의 폭음 가능성이 무직자의 1.7배(과음 가능성 1.5배)였다. 도시에 사는 사람이 폭음할 가능성은 농촌 거주 주민 대비 1.5배,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이 과음할 가능성은 1.4배로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저소득층에서 고위험 음주가 많은 것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질병이나 사망에 더 취약하므로 암으로 진단받은 경우가 더 많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암 등 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저소득층에서 더 크므로 금주ㆍ절주 등 치료ㆍ생활 환경 개선 같은 노력을 할 여건이 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인 ‘한국 암환자에서 고위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16~2017)’는 대한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