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지하벙커'에서 오미크론 대책 논의한 까닭은

입력
2022.02.07 20:30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지하벙커)'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했다. 청와대 지하벙커에서 코로나19 관련 회의가 열린 것은 지난 2020년 12월 수도권 방역상황 긴급회의와 2021년 7월 코로나19 중대본 회의에 이어 오늘이 세 번째다. 문 대통령이 그동안 코로나19 대책을 논의한 회의가 적지 않았지만, 오늘 회의는 청와대 지하벙커라는 특별한 장소 때문에 더욱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청와대 지하벙커로 통하는 국가위기관리센터는 청와대 별관 지하에 있지만 청와대 근무자 대다수가 단 한 번도 내부에 들어가 본 적이 없을 정도로 보안이 철저하다. 1975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청와대 내 전시 대피시설로 처음 건설한 것을, 2003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국가위기관리 상황실로 개조해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2014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위기관리 상황실이던 이곳을 개보수 및 확장했다.

청와대 지하벙커는 말 그대로 안보 등 심각한 국가위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컨트롤 타워의 역할을 하는 대한민국의 가장 핵심적인 장소다. 회의실 내부에 들어가면, 한쪽 벽면을 덮은 대형 스크린에 유사시 현장 상황 정보가 실시간으로 게시되고, 한반도 주변 수백km 반경 내 모든 항공기와 선박의 움직임도 손바닥 들여다보듯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북한의 핵실험이나 각종 미사일 시험발사 등 국가안보를 해칠 심각한 도발이 발생한 경우 대통령은 이곳으로 내려와 청와대 안보실장, 합참의장, 국가정보원장 등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대책을 협의한다.


실제로 문 대통령은 지난 30일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하자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전체회의를 이곳에서 주재했다. 그뿐 아니라, 2017년 인천 영흥도 낚싯배 전복 사고나 포항 지진, 2018년 제19호 태풍 솔릭 북상, 2019년 고성 산불, 2020년 이천 물류창고 화재 등 안보 외 국가적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당시에도 문 대통령은 이곳에서 실시간 현장 화면을 보며 상황 대응을 직접 지휘했다.

7일 오미크론 대응 방침을 논의하는 코로나19 중대본 회의가 이곳 지하벙커에서 열렸다는 것은, 청와대가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을 새로운 국가위기상황으로 받아들이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 "일상회복으로 가는 마지막 고비로 생각한다. 정부를 믿고 함께 힘을 모아주신다면 더 빠르게 일상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과 의료진, 소상공인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왕태석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