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주택 공급의 선행 지표인 인허가와 착공, 분양 물량이 전년에 비해 일제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주택 준공 물량은 3년 연속 감소해 당장 시장이 체감하는 공급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4일 발표한 '2021년 주택 공급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54만5,412가구로 전년(45만7,514가구)에 비해 19.2%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5만2,301가구에서 29만1,348가구로 15.5% 늘어난 가운데 서울 아파트(5만3,662가구)가 전년(3만404가구)보다 76.5% 급증했다.
주택 인허가 실적이 전년보다 증가한 건 2015년 이후 6년 만이다.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15년 고점(76만5,328가구)을 찍은 이후 2017년(65만3,441가구)을 기점으로 급격히 쪼그라들었다. 인허가는 주택 공급 절차의 첫 단계로 그간 문재인 정부의 소극적 인허가 행정은 집값 상승의 주 원인으로 지적돼왔다.
착공과 분양도 증가했다. 지난해 첫 삽을 뜬 주택은 전년(52만6,311가구)보다 10.9% 늘어난 58만3,737가구다. 분양 실적은 33만6,533가구로 전년(34만9,029가구)보다 감소했지만 사전청약 물량 약 3만8,000가구를 포함하면 7.3%가량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당장 주택 공급을 체감할 수 있는 준공(입주)실적은 부진했다. 지난해 준공된 전체 주택은 43만1,394가구로 전년(47만1,079가구)보다 8.4% 줄었다. 주택 준공 물량은 2018년 62만6,889가구에서 3년 연속 감소세다.
국토부는 "지난해 주택 공급의 선행지표인 인허가와 착공 물량이 크게 개선됐기 때문에 입주 물량은 올해(48만8,000가구 전망)부터 증가세로 전환될 예정"이라면서 "정부 공급대책과 서울시 신통기획 등 추진으로 중장기 공급여건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말 전국 주택시장은 매매거래와 분양 모두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5만3,774건으로 전월(6만7,159건)보다 19.9%, 전년 동월(14만281건) 대비로는 61.7% 감소했다. 동월 기준 2008년(3만9,636건) 이후 최저치다. 전국 미분양 주택도 2020년 12월(1만9,005가구) 이후 가장 많은 1만7,710가구를 기록했다.
공급 지표는 △인허가 실적이 전월 4만2,388가구에서 9만7,320가구 △착공은 5만744가구에서 8만1,859가구 △분양은 3만4,243가구에서 4만7,511가구 △준공은 3만2,807가구에서 7만5,358가구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