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는 전국에서 처음 도입한 ‘안심콜 출입관리시스템’이 전국 212개 지자체로 전파돼 활용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안심콜 시스템’은 시설마다 임의로 부여한 전화번호에 전화를 걸면 방문시간, 연락처 등의 내역이 기록되는 출입관리 시스템이다.
기존 QR코드와 수기명부 방식과 달리 노인, 시각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없고, 개인정보 노출 우려도 적은 장점이 있다.
‘안심콜 시스템’은 고양시가 지난해 8월 코로나19 재난회의 때 처음 논의를 시작하면서 개발로 이어졌다. 당시 이재준 시장은 전화를 걸면 부재중 기록이 남는다는 점에 착안, 전화를 활용한 출입관리 방안을 검토하도록 제안했다.
이 시장은 이후 재난회의 때도 안심콜 시스템 도입을 지속적으로 지시했고, 결국 관련부서가 유관기관 등과 협의에 나서면서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게 됐다.
처음 시범운영에 들어간 건 지난해 9월 2일 전통시장 3곳과 일산 상점가 1곳에서다. 시는 사용하던 기존 회선에 시범운영을 위한 번호만 더하고 정보는 고양시 서버에 저장하게 했다.
전화한통으로 출입 내역이 관리되니, 반응을 좋았다. 인증시간도 10초면 충분해 입구에 사람이 몰리는 일도 없었다. 저장된 정보는 4주후면 자동 삭제돼 개인정보보호 문제도 해결했다.
시는 지난해 11월 KT와의 협력해 1만8,000여 개의 회선을 확보, 감염 우려가 높은 요식업·서비스업 등 고위험시설 13개 업종에 번호를 보급했다. 영업주의 부담을 없애주기 위해 이용료는 재난관리기금 3억3,600여만 원을 투입해 충당했다.
이 같은 효용성이 알려지면서 안심콜 시스템은 전국으로 퍼져 나갔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 212개의 지자체, 4만8,000여 개의 민간 기업에서 안심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전국 일평균 콜 수는 600만 건에 달한다. 고양시 곳곳 3만여 개 업소에 안심콜 번호가 부여됐고, 고양시 누적 콜 수는 6,580만여 건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도 안심콜을 방역우수사례로 선정해 전국 확산 계기를 마련했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안심콜’은 새로운 방역체계를 구축해 집단감염까지 예방했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안심방역 시스템으로 평가 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