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처하는 중국의 해법은 하나다. 지역을 틀어막아 확진자를 ‘0’으로 만들 때까지 봉쇄하는 ‘제로 감염’ 원칙을 고수해왔다. 지난해 1월 우한, 4월 하얼빈, 6월 베이징, 10월 칭다오, 올해 7월 난징이 그랬다. 하지만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버거운 모습이다. 코로나19에 뚫린 수도 베이징의 상황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베이징은 69일 만에 확진자 0명의 행진이 깨졌다. 이달에만 23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성인 접종률이 99%에 육박하는데도 델타 변이의 기세를 막을 수는 없었다. 중국 전역 확진자는 지난 일주일간 200명이 넘었다.
도시는 잔뜩 움츠렸다. 원칙적으로 주민들의 베이징 밖 이동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나가려면 거주지역 주민위원회에 보고해야 한다. 이웃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 교육기관의 실내외 단체활동은 전면 금지됐다. 병원 앞에는 부스터샷(추가 접종)을 맞으려는 주민들의 대기행렬이 길어지고 있다.
27일 베이징올림픽 ‘D-100’에 앞서 당국은 전염병 예방 가이드북을 공개했다. 해외 선수단과 관계자들은 입국 14일 전에 두 차례 백신 접종을 마쳐야 한다. 백신 미접종자는 21일간 격리다. 입국 후에도 동선은 철저히 차단된다. 이른바 ‘폐쇄식’ 관리다.
여기까지는 지난달 밝힌 내용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기류가 달라졌다. 호흡기질환 전문가인 베이징대 제1병원 왕광파는 26일 환구시보에 “백신을 맞고 21일 격리해도 제로 감염을 완전히 보장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규모 집단 발병이 아니라면 전염병 예방은 성공적”이라고 덧붙였다. 현실적으로 제로 감염 원칙을 고집하기 어렵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은 그간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를 신경질적으로 거부해왔다. 지난 8월 코로나와의 공존을 조심스레 제안하며 인터넷 기사에 댓글을 남긴 중학교 교사는 보름간 구류 처분을 당했고, 코로나 최고 전문가는 위드 코로나를 주장했다가 비난 여론의 뭇매에 끝내 입장을 바꿔야 했다.
하지만 올림픽을 앞두고 해외 입국자가 몰려드는 상황에서 동네마다 출입을 제한해 유령 도시로 만들 수는 없는 일이다. 서구국가들이 통제 사회라고 비판하는 중국의 그늘이 역으로 부각될 수도 있다. 특히 중국은 7월 도쿄올림픽과 달리 국내 관중의 경기장 입장을 허용하며 베이징올림픽을 성대한 축제의 장으로 만들 요량이다.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입국자들이 정해진 공간 안에서도 충분히 만족할 것”이라고 자신했지만 중국의 코로나 대응은 갈수록 힘겨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