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5% 아래로 떨어졌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직격탄을 맞은 지난해 3분기 이후 1년 만에 최저치다. 중국 각지의 전력난과 헝다 사태가 촉발한 부채위기,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차질 등 악재가 겹쳤다. 중국은 올해 목표로 잡은 ‘6% 이상’ 성장률 달성을 자신하면서도 “국내외 위험요인과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해 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인정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8일 “3분기 경제성장률이 4.9%”라고 밝혔다. 코로나 충격에서 막 벗어나려던 지난해 3분기 성장률(4.9%)과 같은 수치다. 중국 경제가 코로나 확산에 버금가는 위기상황이라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코로나가 발생한 지난해 1분기 성장률이 -6.8%로 추락한 탓에 올 1분기 성장률은 18.3%로 깜짝 반등했다. 기준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수치가 오른 ‘기저효과’ 때문이다. 2분기 7.9%로 감소세를 보였지만 선방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이날 발표 직전까지도 로이터(5.2%), 블룸버그(5.0%), 차이신(5.1%), 중국 10개 금융기관(5.4%) 등 상당수가 5%는 넘길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4.9%에 그쳐 시장 전망에 미치지 못했다. 골드만삭스(4.8%), 노무라증권(4.7%)은 더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경제 매체 차이신은 △전염병 △에너지 소비 이중통제 △전력난 △부동산 규제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지표상으로는 생산부문의 부진이 두드러진다. 9월 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3.1% 증가에 그쳐 8월에 비해서도 2.2%포인트 줄었다. 올해 2월(35.1%) 이래 8개월째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치솟는 생산비용에 발목이 잡혔다. 14일 국가통계국 발표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대비 10.7% 올라 1996년 통계 작성 시작 이래 25년 만에 최고치(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를 기록했다. 8월(9.5%)은 물론이고 당초 전망치(10.5%)보다도 높은 수치다. 9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9.6으로 나타나 경기확장과 위축 기준인 50 밑으로 떨어져 지난해 2월 이후 최악을 기록했다.
지에미엔신원은 “올 3분기 중국 경제 동력이 뚜렷하게 상실됐다”면서 “원자재 공급부족과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 제한의 영향이 컸다”고 진단했다. 다만 내수는 회복세를 보였다. 9월 소매판매 증가율이 4.4%로 8월(2.5%)보다 1.9%포인트 늘었다. 9월 수출도 전년보다 28.1% 증가해 시장 전망(21%)을 크게 웃돌았다.
남은 관심은 올해 중국 연간 성장률이다. 지난 3월 양회 때 워낙 보수적으로(6% 이상) 제시한 탓에 달성하기엔 무난한 수준이다. 문제는 경제 흐름과 분위기다. 골드만삭스(8.2%→7.8%), 노무라증권(8.2%→7.7%), 국제통화기금(IMFㆍ8.1%→8.0%) 등이 잇따라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성장률이 6%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갈수록 찬바람이 부는 셈이다.
이를 의식한 듯 국가통계국과 중국 매체들은 이날 발표에서 ‘4.9%’가 아닌 ‘9.8%’라는 수치를 앞세웠다. 9.8%는 올 1~3분기 중국 성장률 평균치다. 무리하게 8% 안팎의 고성장을 추진하기보다 당초 제시한 목표를 초과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춰 선전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 국가통계국은 “복잡한 국면 속에서도 주요 거시지표가 합리적 범위 안에 있고 소득은 증가하고 민생은 개선돼 연간 경제사회 발전목표를 달성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