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벌레도 배달?... 배달음식 이물질 신고 '급증'

입력
2021.10.07 20:20
10면
올해 6월까지 2,874건… 2019년 比 3.5배↑
배민>쿠팡이츠>요기요 순... 머리카락 최다
고민정 의원 "감시원 늘리는 등 관리 필요"

배달음식 플랫폼으로 주문한 음식에 이물질이 섞여 있다는 신고가 최근 3년간 3.5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음식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아졌지만 정부는 제대로 감시하지 않았다. 배달플랫폼 업체가 2.6배 늘어나는 동안 단속 인원은 그대로였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물신고제’가 시작된 2019년 7월부터 6개월 동안 신고 규모는 810건 수준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6월까지 2,874건이나 신고가 접수됐다. 상반기에만 지난해 전체 신고 건수(1,557건)의 두 배에 육박할 만큼 증가세가 뚜렷했다.

업체별 신고 현황(올해 기준)을 보면 국내 시장점유율 1위인 배달의민족이 1,639건(57.02%)을 차지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쿠팡이츠가 1,161건(40.39%)으로 뒤를 이었는데, 2019년(12건)과 비교하면 신고 폭증세가 두드러진다. 요기요는 67건이 신고됐다. 이물질 종류별로는 머리카락(1,009건ㆍ35.1%), 벌레(541건ㆍ18.82%), 금속(273건ㆍ9.4%) 등의 순이었다.

이물질 신고가 많아진 건 기본적으로 배달음식 시장 덩치가 커져서다. 주요 배달플랫폼에 등록된 음식점 수는 2019년 9만6,827개에서 올해 25만4,373개로 2.6배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갈수록 배달음식에 의존한 측면도 있다.

문제는 확대된 시장 규모에 맞춰 관리ㆍ감독에도 힘써야 하지만, 정부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는 점이다. 고 의원실이 식약처로부터 받은 ‘지방자치단체 식품접객업소 식품위생 감시원 수 현황’에는 정부의 허술한 관리 실태가 잘 나와 있다. 올해 전국에서 식품위생을 감시하는 인원은 2,988명. 3년 전(2,941명)보다 고작 47명 늘었다. 배달음식 플랫폼 시장이 두 배 넘게 성장하는 동안 단속 인원은 사실상 제자리였던 셈이니 불만은 많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서울은 감시원 수가 2019년 377명에서 올해 334명으로 되레 43명 줄었다.

식품위생은 국민 건강과 직결된 문제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감시망 정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고 의원은 “소비자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배달음식 품질을 단속하는 인력을 늘리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은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