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신임 총리에게 취임 축하 서한을 보내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밝혔다. 기시다 총리와의 전화 통화와 대면 정상회담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문 대통령은 축하 서한에서 "한일 양국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라는 기본 가치를 공유하고 지리ㆍ문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국가"라며 "이웃 나라다운 협력의 본보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소통하며 협력해 나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강제동원 피해자 문제를 비롯한 과거사 갈등, 일본의 2019년 수출규제 조치로 인한 후유증 등 난제를 풀어 나가자는 취지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일본 새 내각과 마주 앉아 대화하고 소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도 “우리 정부는 기시다 총리 일본의 새로운 내각과 적극 협력해 현안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경제ㆍ문화ㆍ인적교류 등 여러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냈다. 청와대와 정부가 '소통할 준비' '적극 협력'이라는 표현을 쓰며 일본에 거듭 대화의 손을 내민 것이다.
기시다 총리는 외무성 장관 때인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서명한 당사자다. 박근혜 정부와 맺은 합의가 문재인 정부에서 사실상 파기되는 과정을 지켜보며 한국에 불만을 가진 점, 내각 요직에 보수 강경파를 임명했다는 점에서 관계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이에 청와대는 조심스럽게 '정상 간 직접 접촉'을 시도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전화 통화와 대면 정상회담이 단계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한일 정상회담은 아베 신조 정권 때인 2019년 12월 이후 22개월간 열리지 않았다.
문 대통령은 ‘한일 관계 회복’을 임기 말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올해 8ㆍ15 광복절 경축식에서도 “언제든 일본 정부와 마주 앉을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7월 영국에서 열린 주요7개국(G7)정상회의 때도 스가 요시히데 당시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추진했으나, 막판에 무산됐다.
문 대통령은 스가 전 총리에게도 서한을 보내 재임 중 노고를 평가하고 "퇴임 후에도 양국 간 우호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스가 전 총리도 문 대통령에게 이임 인사를 담은 서한을 보내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