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준용 저격수' 곽상도, '아들 50억 퇴직금 파문'에 신속 탈당

입력
2021.09.27 07:00
3면

대장동 개발특혜 의혹을 고리로 이재명 경기지사를 몰아붙이고 있는 국민의힘이 대형 악재를 만났다. 곽상도 국민의힘 의원 아들이 '화천대유자산관리(화천대유)'에서 50억 원에 달하는 퇴직금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곽 의원 아들은 "아버지 제안으로 화천대유에 입사했다"고 밝혔다.

곽 의원은 "내 잘못이 뭐냐"며 잠시 버텼으나, 관련 언론 보도가 나온 26일 곧바로 탈당계를 냈다. "제명하겠다"는 당 지도부의 압박을 버티지 못한 것이다.

한때 ‘제명’ 거론됐지만 결국 ‘자진 탈당’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6일 오후 긴급 최고위원회의 직후 “오늘 곽 의원 아들과 관련한 언론 보도가 있었고, 곽 의원이 대구시당에 탈당계를 제출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지역구(대구 중ㆍ남구) 국회의원인 곽 의원의 탈당계는 대구시당에서 곧바로 처리할 수 있다. 다만 탈당해도 의원직은 지킨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곽 의원에 대해 최고 수위 당내 징계인 ‘제명’까지 검토했다. '아빠 찬스'로 곽 의원 아들이 거액의 퇴직금을 받았다는 사실 자체가 민심에 반하는 데다, 곽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 아들 준용씨의 '아빠 찬스' 의혹을 줄기차게 제기해온 당사자이기 때문이다. '불공정'과 '내로남불'이 결합한 초대형 악재인 셈이다.

곽 의원은 출당 결정 전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제가 잘못한 것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해달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강경한 기류를 파악한 뒤 '제명'보단 덜 치욕적인 자진 탈당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게이트’ 역풍 빌미 차단 포석

국민의힘이 곽 의원을 곧바로 밀어낸 건 더불어민주당의 역공을 차단하기 위해서다. 국민의힘은 대장동 개발 당시 경기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 경기지사가 화천대유에 특혜를 제공한 배후라고 주장해 왔다. 이 지사는 국민의힘 인사의 연루 의혹을 역으로 제기하며 '국민의힘 게이트'라고 맞서왔는데, 곽 의원 아들 논란이 이 지사 논리에 힘을 실어준 꼴이 됐다.

그럼에도 곽 의원 아들 문제는 당분간 진화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곽 의원에 대한 신속 처분을 내걸어 "민주당도 특별검사·국정조사를 수용하라"고 압박할 방침이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곽 의원의 거취를 빠르게 정리한 뒤 여권 인사들의 문제까지 제대로 다루자고 더 거세게 몰아붙일 것”이라고 했다.

곽 의원 부자가 '50억 퇴직금 수수'의 도의적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것 또한 잔불로 남았다. 조국 사태 이후 '내로남불' 프레임에 시달려 온 민주당은 '국민의힘 전체의 내로남불'로 몰아붙일 태세다.


'내로남불' 비판도 여전... "칼날 되돌아와"

곽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 자녀의 특혜 의혹을 집중 추궁하는 '저격수' 역할을 자처해왔다는 점은 국민의힘 입장에서 뼈아픈 대목이다. 문 대통령 아들 준용씨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긴급 예술지원금 수령 논란, 딸 다혜씨 아들의 서울대병원 특혜진료 의혹 등을 제기한 것 모두 곽 의원이었다.

그런 곽 의원이 아들의 거액 퇴직금에 대해 “회사가 실정에 따라 지급한 것인데 뭐가 문제냐”는 식의 해명을 이어가면서 성난 여론에 기름을 부었다. 준용씨는 페이스북에서 곽 의원을 향해 “아들이 받은 돈이라 아빠는 모른다는 식으로 대응하지 마시라”며 “자기가 던진 칼날이 되돌아오는데 아들을 방패막이로 쓰는 건 비겁한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강유빈 기자
박재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