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방역 당국이 추석 연휴 이후 '위드 코로나'(With Covid-19)로의 전환을 깊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방역 당국은 "위드 코로나란 용어가 확진자 발생 자체를 중요치 않게 생각하고 거리두기를 없앤다는 의미로 가끔 표현되고 있는데 이 같은 논의는 결코 아니다"라며 "단계적 일상 회복"이란 점을 강조했는데요.
이에 위드 코로나 시대를 어떻게 규정하고 또 미리 챙겨서 알고 있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궁금증을 질의응답(Q&A) 식으로 정리해봤습니다. 감염병 전문가 ①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 ②정재훈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③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등 3명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삼았는데요.
전문가들은 위드 코로나는 완전한 방역 완화라는 착각을 버려야 하며, 백신 접종률을 살피며 점진적 단계적으로 풀어갈 문제라는 데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①위드 코로나는 언제부터 가능할 걸로 보나.
천은미 교수 = 11월 정도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추석이 지나면 백신 접종률이 1차가 70%, 2차가 50%로 올라갈 거다. 2차가 50%일 때 방역을 한번에 완화한 나라들은 확진자가 늘어서 문제가 생겼다. 결국 2차 백신 접종률도 70% 이상 올리는 시점이어야 한다. 11월 정도엔 분명히 먹는 경구 치료제가 나올 거라는 점도 고려 대상이다. MSD나 로슈나 화이자 등 여러 나라에서 임상 3상을 마쳤다.
정재훈 교수 = 성인들의 2차 백신 접종률이 70%까지 완료되는 시점이 11월이라서 정부도 그렇게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70%는 어떤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판단했다기보다는, 일종의 정책 목표이다.
② 위드 코로나에 대한 오해도 많다.
정재훈 교수 = 위드 코로나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위드 코로나는 완전한 방역 완화가 아니다. 백신 접종률에 따라 점진적, 단계적으로 갈 수밖에 없다. 한번에 모든 조치를 다 풀 수도 없다. 다만 백신 접종 완료율이 높아질수록 우리의 행동 범위가 넓어질 수는 있다. 완전히 방역 조치를 완화한다고 이해하면 오히려 피해는 커진다.
이재갑 교수 = 위드 코로나가 방역을 완전히 풀고 마스크를 다 벗는다, 이렇게 오해되는 상황들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밑그림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명확한 로드맵까진 아니더라도. 정부는 점진적인 일상 회복이라고 표현했지만, 11월 이후에 어떤 형태로 (일상생활이) 변할 건지에 대한 큰 그림을 먼저 보여줘야 국민들이 오해를 안 할 것 같다. 적어도 9월 안에는 그림을 그려놔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든다.
③ 위드 코로나를 준비하는 방역 당국에 전하고픈 당부가 있다면
정재훈 교수 = 위드 코로나로 넘어갈 때, 확진자가 지금보다 훨씬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정책 준비에 나서야 한다. 한국의 코로나19 치명률은 0.2%로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편이다. 확진자 수를 억제했기 때문에 의료체계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아서다. 그러나 위드 코로나로 짧은 시간에 방역이 완화되면, 미국 영국 이스라엘처럼 완화와 동시에 대규모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국민들은 의문을 가질 것이다. 그럼 다시 방역이 강화될 수 있다. 최대한 단계적, 점진적으로 완화해야 피해가 분산될 수 있다. 피해가 집중되면 의료체계 과부하로 인한 초과 사망과 코로나19 외 질환 사망이 늘 수 있다.
이재갑 교수 = 확진자 수가 아니라 이제 위중증 환자 중심으로만 가겠다고 하는 말 자체에 어폐가 있다. 일정부분 확진자 수가 너무 늘어나게 되면 절대적인 위중증 환자 수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위중증 환자 위주로 가려고 하면 일단은 의료체계 자체가 변모돼야 하는데, 지금 의료체계는 1년 반 넘게 계속해서 똑같은 임시 비상체계로만 운영되고 있다. 위중증 환자 중심으로 환자를 볼 수 있게 의료체계도 바꿔야 되는데 의료체계를 바꾸는 건 단순히 한두 달의 시간으로 되는 게 아니라 오랜 시간도 걸리고 국민적 공감대, 의료계의 공감대도 필요하다. 그런 부분에 대해서 로드맵을 제시하지 않으면 10월이나 11월 이후에 상당히 혼란스러운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