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조각승으로 이름을 떨친 색난(色難)의 대표작들이 보물로 지정된다.
31일 문화재청은 색난 대표작 4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색난은 17세기 후반에 주로 활동한 조각승으로 1640년 전후 출생해 1660년대 수련기를 거친 후 1680년 우두머리인 수조각승이 되어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40년 넘게 활약한 것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색난은 같은 시기 조각승 중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긴 것으로 유명하다. 보통 유명 조각승이 평생 10건 내외의 작품을 남겼지만 색난의 작품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만도 20여 건에 이른다.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광주 덕림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은 지금까지 알려진 색난의 작품 가운데 제작 시기가 가장 빠른 작품이다. 총 26구로 구성된 대규모 불상인데, 발원문을 통해 1680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성 당시부터 지금까지 주요 존상의 손실이 없고, 작품성도 뛰어나, 17세기 후반 명부전(지장보살을 본존으로 하여 염라대왕과 시왕을 모신 법당) 불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고흥 능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은 능가사 웅진당에 봉안돼 있는 불상 일괄로, 1685년 6월 능가사 승려 상기가 발원, 색난이 그의 동료·제자들과 함께 만든 것이다. 고흥 능가사는 색난의 본사이자 활동 본거지로, 해당 작품은 그가 오래 머문 사찰에서 대단위 불사를 진행하고 남긴 것이라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김해 은하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일괄’은 1687년에 제작돼 김해 신어산 서림사 시왕전(현 은하사 명부전)에 봉안된 총 21구로 구성된 불상이다. 광주 덕림사 불상과 더불어 색난의 명부전 불상 중 대표작으로 알려진 작품이다. 색난의 전성기 조각 양식이 잘 드러나 있으며, 특히 존상이 완전성을 지니고 도상이 창의적인 데다 보존 상태가 양호해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구례 화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은 1703년 만들어진 대형 불상으로 색난의 50대 만년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불상 조성에 숙종을 비롯해 권세 있던 가문의 인물이 대거 참여했다. 해당 작품은 숙련된 기량과 원숙함이 반영된 색난의 대표작이자 도상학적으로도 의의가 크며, 수준 높은 조형성과 기술적 완전성을 갖춰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화재청은 4건의 불교 조각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검토한 다음,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