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변이 감염자, 비변이보다 바이러스 300배 이상 배출

입력
2021.08.24 17:51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은 1~3차 유행 때의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걸린 사람보다 증상 초기에 호흡기를 통해 바이러스를 300배 이상 더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델타 변이에 감염된 국내 확진자의 전파력을 살펴보기 위해 증상 발현 이후 호흡기 검체의 바이러스양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델타 변이 감염자 검체 1,848건과 국내 1∼3차 유행 당시 주로 검출됐던 유전형(S형, V형, GH형) 검체 2만2,106건을 대상으로 증상 발현 이후 14일까지의 일별 평균 검사값을 바이러스양으로 환산했다. 그 결과 델타 변이에 감염된 환자는 증상이 발현된 당일을 기준으로 지난해 1차 유행 당시의 바이러스 유형(S형·V형) 대비 약 300배 이상 바이러스양이 많았다.

김은진 방대본 검사분석팀장은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여러 번 전파력의 변화를 거쳐 왔는데, 작년 1차 유행 당시 바이러스와 비교해 2, 3차 유행의 바이러스는 발병 초기 바이러스 배출량이 최대 10배 이상 높아졌다"며 "현재 4차 유행의 중심인 델타 변이의 경우 2, 3차 유행보다도 최대 20배 이상 바이러스 배출량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다만 방대본은 델타 변이 감염자가 배출하는 바이러스양은 증상 발현 후 4일째엔 다른 바이러스 대비 약 30배, 9일째엔 약 10배 등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증상 발현 후 10일이 지난 시점에는 배출량의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는 것이다.

김 팀장은 "델타 변이는 까다롭고 변화가 심한 바이러스로, 특히 증상 초기에 대규모의 바이러스 배출이 있어 감염력이 높다"며 "발병 초기 관리가 매우 중요한 만큼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대본은 이 결과가 우리나라 발생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통해 추정한 게 아니라 바이러스양을 정밀하게 측정해 일별 증감까지 분석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방대본은 이 결과를 국내외 연구진과 공유할 예정이다.

박소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