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최대 도시인 목포의 인구가 2년 사이 1만 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 도시 인구 감소가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문제는 급격한 감소세에 있다. 타 지자체 대비 촘촘하지 못한 시의 출산 지원 및 인구 정책이 배경으로 거론된다.
5일 목포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2019년 말 22만9,861명이던 시 인구는 2020년 말 22만4,044명을 기록한 데 이어 지난달 말 기준 22만794명으로 집계됐다. 올 상반기에만 3,250명이 감소한 것으로, 연내 22만 명 붕괴가 유력하다.
목포 인구 감소는 우선 출산율 하락과 함께 높은 이주율이 꼽힌다. 목포 인구는 1997년 24만9,000명을 정점으로 지속 감소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2018~2019년 사이 목포시 인구는 6,000~7,000명이 순감했다”며 “타지역으로의 이주율이 전국 중소도시 중에서 가장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목포 출산율은 0.8명으로 곡성군(0.81명)과 함께 전남에서 합계출산율 1명이 되지 않는 지역이다.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은 '데드크로스'가 목포에서는 2018년 시작됐다.
또한 인색한 인구정책도 인구 급감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시 안팎의 평가다. 대표적인 것이 인구정책 주무부서의 부재다. 인근 순천·여수·나주·광양시 등의 지자체는 인구정책업무를 인구일자리과 인구정책팀이 보고 있지만, 목포시의 경우 기획예산과 내 납세자보호팀이 인구정책 업무를 보고 있다.
이 같은 조직 편제는 느슨한 인구정책으로 이어졌다. 각 지자체의 기본 인구정책으로 자리 잡은 출산장려금의 경우 순천시는 300만~1,500만 원을 지원하고, 광양시는 신혼(예비)부부에 한해 무료검진지원비(26만 원), 신생아 양육비(500~2,000만 원) 등 금액으로 환산 시 5,123만 원에 달하는 62가지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인근 해남군, 강진군도 비슷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목포는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200만 원, 넷째 300만 원, 다섯째 이상 400만 원 지원 등 비교적 단출하고, 출생신고 인증서 발급, 셋째 이상 출생아 보험가입, 전입대학생 생활안정자금 20만 원 지급 등 단편적인 지원에 머물러 있다.
김휴환 목포시의회 의원은 "인구정책은 도시발전과 직결되는데도 목포시는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인구정책을 총괄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전담팀 구성과 보육환경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구 공설운동장에 대규모 명문 아파트가 들어서면 인구 유입이 다시 늘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