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신선 전격 복원, 실질적 관계 개선 이어지길

입력
2021.07.28 04:30
27면

청와대가 27일 "남북 정상이 단절됐던 통신연락선을 복원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북한 조선중앙통신도 "모든 통신연락선을 재가동하는 조치를 취했다"고 확인했다. 이날 오전 10시 판문점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직통전화, 군 통신선에선 남북 당국 간 통화가 성사됐다.

북한이 지난해 6월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 직후 일방적으로 끊은 통신연락선이 연결된 건 남북 비상 상황에서 오판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그동안 꽉 막혔던 남북관계가 다시 대화 국면으로 돌아서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하다. 청와대는 이날 “남북 정상이 지난 4월부터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했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김여정의 도를 넘은 비방에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주고받으며 신뢰 회복에 뜻을 같이한 건 고무적인 대목이다. 말에 그칠 게 아니라 이산가족 상봉, 9·19 군사합의 후속조치 이행,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실질적인 긴장 완화와 남북 협력 사업으로 이어가는 게 숙제다.

물론 8월 한미연합훈련이 코앞이고 북한의 의도가 분명하지 않다는 점에서 성급한 판단은 금물이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남북관계의 자율성을 확보한 데 이어 김 위원장과의 친서 교환으로 돌파구를 마련한 건 평가할 만하다. 2019년 2월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후 멈춰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재개될지도 주목된다. 김 위원장이 북미 대화에도 전향적 자세를 보이기를 촉구한다. 우리 정부는 임기 말 과도한 성과에 매달리기보다 원칙을 지키면서 평화의 초석을 다지는 데 집중하는 게 중요하다.

다만 남북 통신연락선이 일방적 결정에 속절없이 단절되는 사태가 반복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어떤 상황에서도 창구가 유지되도록 재발방지책부터 강구하는 게 순서다. 북에 끌려다닌다는 지적을 피하려면 연락사무소 폭파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에 대한 책임과 해명을 요구하는 것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