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이르면 내년 말부터 기준금리를 인상할 필요가 있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권고가 나왔다. IMF는 미국의 대규모 돈 풀기로 인한 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고 봤다. 이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내년 상반기부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IMF는 경제 현황 등에 대한 미국 정부와의 연례 협의 보고서를 통해 "연준이 2022년 말이나 2023년 초 금리인상을 시작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미국 정부의 재정 지출 증가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장기 목표치 이상으로 유지되는 상황에서 이르면 내년 말 이후엔 시중에 풀린 돈을 거둬야 한다고 지적한 것이다. IMF의 금리인상 권고 시점은 '2023년 중 인상'이라는 최근 연준의 예고 시점보다 1년 가량 빠른 것이다.
IMF는 연준의 자산매입 규모 축소 개시 시기로 내년 상반기로 제시했다. 연준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면서 기준금리를 '제로'(0.00~0.25%)로 낮춘 데 이어, 매달 1,200억 달러 규모 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경기부양을 지원해 왔다. IMF는 "촉박한 일정이 예상되는 만큼, (시장과의) 능숙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IMF가 연준의 조기 금리인상을 권고한 배경은 경기회복세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이다. 이날 IMF는 올해 미국 경제의 성장률을 7.0%(기존 6.4%)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1984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IMF는 특히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연내 4.3%까지 올라 정점을 찍은 뒤 내년 말쯤 2.5% 정도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IMF도 연준의 주장처럼 가파른 물가 상승세를 '일시적'으로 보지만, 물가 압력이 연준의 장기 목표치(2%)를 여전히 웃도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블룸버그는 해석했다.
앞서 연준도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당초 예정(2024년 이후)보다 앞당길 수 있다고 예고한 상태다. 연준은 지난달 중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2023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쳤다.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에서 FOMC 위원 18명 중 다수(13명)는 2023년 금리인상을 예상했고, 2022년을 예상한 위원도 종전 4명에서 7명으로 늘었다.
IMF는 "코로나19 확진자 수 감소와 전례 없는 수준의 재정과 통화 정책이 경제에 상당한 활력이 불어넣을 것"이라면서도 "저축액이 줄어들고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압력을 재차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