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고강도 혁신을 다짐했다.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서 “그동안 (국민) 여러분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지 못했다”고 사과한 뒤 “유능한 개혁과 언행일치의 민주당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겠다”고 약속했다. 특별히 2030세대를 의식해 청와대에 청년특임장관 신설을 제안하겠다고 했다. 이른바 ‘이준석 현상’이 불 지핀 국민적 정치혁신 요구를 적극 수용하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민주당 현주소에 대한 송 대표의 진단은 정확하다. 4·7 재보선 패배 이후 당심과 민심의 괴리에 대해 “당내 민주주의와 소통 부족”을 반성했고 ‘문파’의 과도한 공세를 “특정 세력에 주눅 들거나 자기검열에 빠지는 순간 민주당은 민심과 유리되기 시작하는 것”이라며 경계했다.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진 소속 의원 12명에 대한 탈당 및 출당 조치는 “내로남불 민주당을 변화시키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민주당 현실을 놓고 보면 과연 쇄신 의지가 있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국민의힘이 이준석 신임 대표를 중심으로 세대교체와 정치혁신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것과 달리, 민주당에서는 경선연기론을 둘러싸고 아직도 대선 유불리 다툼을 거듭하고 있다.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탈당을 권고받은 지역구 의원 10명 가운데 절반은 당의 결정에 반발하는 상황이다. 부동산 실정을 바로잡겠다며 제시한 종합부동산세제 개편안도 ‘부자 감세’ 논란에 발목이 잡혀 갈피를 못 잡고 있다. 당 안팎에서 민주당이 기득권에 취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지경이다.
‘조국의 시간’에 갇힌 민주당이 혁신하지 않으면 도태할 수밖에 없다는 송 대표의 호소는 백번 옳다. 그러나 갈 길은 멀어 보인다. 송 대표 연설이 화려한 말잔치로 끝나지 않으려면 고강도 처방이 필요하다.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가 리더십을 세우고 당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혁신 방향 또한 정권 재창출이라는 정략적 목표가 아니라 민생을 중심에 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