꺼져버린 LG폰에 남겨진 메시지

입력
2021.04.29 04:30
26면

편집자주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인터넷도 피처폰(일반폰)에서 다 되는데, 뭐하러 만드나요?”

사실상 불필요하다는 얘기였다. 경쟁사에서 야심작으로 꺼내 든 스마트폰과 관련된 질문에 돌아온 답변엔 자신감이 충만했다. 2009년 당시, LG전자 휴대폰을 책임졌던 안승권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 사업본부장 주도로 열린 기자간담회장에서다. 고(故)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2007년 선보이면서 세계 휴대폰 시장 생태계를 송두리째 바꾼 ‘아이폰’의 국내 상륙 시점에 전한 LG전자 수뇌부 진단은 그랬다. 이 자리에서 LG전자 측은 “우리나라는 건물 하나만 건너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인터넷 속도의 컴퓨터(PC)방이 있다”면서 “언제든지 PC방에 들어가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는데, 누가 길거리에서 휴대폰으로 인터넷을 하겠느냐”며 스마트폰의 존재감을 가차없이 평가절하했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초콜릿폰’과 ‘샤인폰’ 등으로 한때 세계 휴대폰 업계에서 3위까지 올라갔던 LG전자였기에 이처럼 설익은 예단에도 힘이 실리는 듯했다.

하지만 그릇된 판단의 실체는 금세 드러났고 LG전자에겐 혹독한 현실만 기다렸다. 2010년에서야 조급하게 LG전자의 첫 스마트폰으로 출시된 ‘안드로 원’은 소리소문 없이 사라졌고 ‘옵티머스’를 포함해 ‘G’와 ‘V’시리즈, 벨벳 등으로 이어진 후속작의 지속성도 찾아보긴 어려웠다. 피처폰의 달콤함에 취한 경영진의 오판이 가져온 참담한 결과였다. 결국 2015년 2분기부터 받아 든 LG전자 MC사업본부의 영업손실은 지난해 4분기까지 23분기 연속 거듭됐고 급기야 지난 5일엔 휴대폰 사업 철수 발표까지 불러왔다. LG폰의 몰락은 느슨한 시대 흐름 파악에서부터 불거졌다. 고객의 마음을 기업 입장에서 임의로 재단한 게 화근이다. 결국 사물인터넷(IoT)과 결합 등으로 기대된 사업적 확장성까지 증발시킨 LG폰은 체질 개선을 내세운 구광모 LG그룹 회장 체제하에서 26년 만에 정리됐다.

최근 분위기에선 삼성전자도 안심할 순 없는 처지다. LG폰의 빈자리를 노리기에 앞서 냉철한 진단이 선행돼야 할 형편이다. 아픈 과거를 지닌 삼성전자이기에 더 그렇다. 지난 2008년 아이폰의 대항마로 출시된 ‘옴니아’폰은 각종 품질결함에 뭇매만 맞고 퇴출됐다. 이어 ‘보는 휴대폰’이란 슬로건 아래 선보인 ‘아몰레드폰’으로 시간을 벌고 난 이후 나온 ‘갤럭시’가 현재 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에 오른 브랜드다. 하지만 이렇게 탄생한 갤럭시도 불안하다. 지난해 출시된 ‘갤럭시20’ 경우엔 심각한 카메라 초점 오류 등의 문제로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까지 올라가면서 체면을 구겼다.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은 지난 1995년 “비싼 휴대폰이 고장나면 누가 사겠느냐”면서 당시 구설에 올랐던 애니콜 15만 개를 한꺼번에 불태운 바 있다. 이미 소비자들의 눈 밖에 난 기능들도 문제다. 사내에서조차 시끄러운 휘어진 엣지 디스플레이나 빅스비 음성인식 기능 등은 스마트폰 출고가격만 올리고 있다.

한때 세계 휴대폰 업계에 철옹성을 구축했던 노키아나 모토로라도 소비자들의 마음에서 멀어지면서 침몰했다. 기업 경영의 최우선 가치는 소비자에 있다. 꺼져버린 LG폰에 남겨진 마지막 메시지는 자명하다. “정답은 언제나 소비자 눈높이에 있다.”


허재경 산업1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