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 점포 304곳 문 닫았다...3년 만에 최대

입력
2021.04.07 19:00
19면
금감원, 국내 은행 점포 운영현황
비대면 거래 확산에 점포 감축 현상 가속화
고령층 등 금융 접근성 악화 우려도 커져

지난해 은행 점포 300여 곳이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로 대면 거래를 꺼리고 모바일 뱅킹 등 비대면 채널을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은행권 점포 축소는 거스를 수 없는 현상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고령층 등 비대면 거래에 익숙지 않은 디지털 취약계층의 금융 소외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04곳’ 은행 점포 문 닫아… 3년 만에 최대 감소

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국내 은행 점포 운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지점과 출장소를 포함해 신설된 점포는 모두 30곳으로 집계된 반면, 폐쇄된 점포는 334곳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은행 점포 1곳이 새로 생기면 기존 점포 10곳이 문을 닫았다는 얘기다.

점포 감소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2018년과 2019년 각각 23곳, 57곳에 불과했던 폐쇄 점포 수는 지난해 304곳으로 2017년(312곳) 이후 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났다. 그 결과 국내은행 점포 수는 2015년(7,281곳)과 비교해 876곳이 줄어든 6,405곳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의 대도시권 점포가 주로 폐쇄됐다. 국민은행이 83곳으로 제일 많았고, 하나은행(74곳)·우리은행(58곳)·부산은행(22곳)·신한은행(21곳)이 뒤를 이었다. 폐쇄 점포가 위치한 지역은 수도권·광역시 등 대도시권이 251곳(82.6%)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점포 폐쇄는 시대적 흐름…"수도권 아닌 지방은 최소 점포 유지를"

은행의 점포 폐쇄가 가속화되면서 고령층과 디지털 취약 계층의 금융 소외 현상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 제도를 개선해, 점포 폐쇄 전 사전 영향평가를 실시하게 하고 그 결과를 보고받는 등 관리에 나섰다.

금감원 관계자는 "점포 감소로 금융소비자 불편이 초래되지 않도록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가 충실히 이행되도록 지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모바일을 포함한 인터넷뱅킹 채널을 강화하고 대면 영업을 줄이는 것은 은행들의 경영 전략일 뿐 아니라 거스를 수 없는 시대 흐름이라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인터넷뱅킹 등록 고객 수는 1억7,037만 명으로 전년 말 대비 7% 증가했다. 이용 건수와 금액 규모도 각각 11.9%, 20.6% 증가했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만, 인건비 등 유지비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점포들을 정리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은행의 자율적 판단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은행 점포가 밀집한 수도권은 자율적 영역에 남기고 금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방만 집중 관리하는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상봉 한성대 교수는 “은행 점포 감소는 금융 당국이 막을 수 있는 현상이 아니다”라면서도 “은행 점포가 부족한 지방의 경우엔 정부가 지분을 가지고 있는 지방은행을 통해 최소한의 점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정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