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준생 역대 최대, 민간고용 확대가 최선책

입력
2021.03.22 04:30
27면


청년 고용 상황이 최악으로 흐르고 있다. 21일 연합뉴스가 통계청 2월 고용동향을 상세 분석한 데 따르면, 같은 기간 취업준비자수가 85만3,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8만3,000명이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대치다. 늘어난 취준자 중 약 7만 명은 20~30대로 청년층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취준자와 별도로, 아예 취업활동을 하지 않는 청년무직자를 가리키는 ‘니트족’도 지난해 말 현재 전년보다 24% 넘게 급증한 43만6,000명에 달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니트족은 아예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실업통계에서는 빠지지만, 현실적으론 엄연히 실업상태인 청년들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1일 청년인구(15~29세)에서 니트족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2.8%에서 지난해 4.9%로 2.1%포인트나 상승했다고 밝혔다. 취준자들이 나중에 구직활동을 포기하고 니트족에 편입되는 경우가 흔한 만큼, 현재의 ‘고용절벽’은 자칫 청년층의 니트족화를 부를 가능성이 적지 않다.

2월 청년 고용 상황은 확장실업률이 26.8%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게 확인되면서 심각성이 부각된 바 있다. 이처럼 청년 고용 상황이 악화하는 이유는 구직연령층인 25~29세 청년들의 졸업은 이어지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올해 취업문이 거의 닫혀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경제연구원이 최근 파악한 데 따르면 국내 매출액 500대 기업 중 63.6%가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세우지 못했거나, 채용계획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올해 5조9,000억 원을 투입해 104만 명의 청년 일자리를 지원한다. 공공일자리보다는 민간 중소ㆍ중견기업의 정보기술(IT) 일자리를 늘리는 쪽에 초점을 둘 계획이다. 하지만 재정지원 일자리의 가장 큰 문제는 지속가능성이 적다는 데 있다. 민간의 청년 고용 촉진을 위해선 보조금 방식의 직접 일자리 지원보다는, 다소 효과가 늦더라도 서비스업 촉진, IT 비즈니스 활성화 지원 등 전략적 경기진작책이 병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