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의 참뜻은..." 문 대통령 발언 연일 부연하는 청와대

입력
2021.03.17 12:10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 부동산 투기 의혹을 해소할 해법으로 “부동산 적폐 청산”을 내건 것과 관련, 청와대가 17일 “적폐 청산은 잘못된 문화와 관행을 혁파하자는 것”이라는 입장을 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이명박ㆍ박근혜 정부의 과오를 끌어들여 현 정권의 책임을 희석하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오자, 청와대가 바로잡은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7일 기자들과 만나 “적폐라는 표현에 오해가 있는 것 같아 설명하겠다. 적폐 청산은 사람에 대한 것이 아니다”라며 “오랫동안 쌓인 잘못된 문화, 관행의 환부를 도려내고 혁파하는 게 마땅하니, 그러한 사슬을 끊어내자는 뜻”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15일 청와대 수석ㆍ보좌관회의에서 “부동산 적폐 청산과 투명하고 공정한 부동산 거래 질서 확립을 핵심적인 국정과제로 삼아 강력히 추진하겠다. 그것이 우리 정부를 탄생시킨 촛불 정신을 구현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적폐’라는 단어가 현 정권에서 ‘보수정권의 부정부패’와 동의어로 쓰이는 데다 ‘촛불 정신’까지 거론한 것 때문에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을 겨냥한 발언으로 읽혔다.

청와대가 이틀 만에 ‘사람 얘기가 아니다’라고 바로잡은 건 문 대통령의 발언이 LH 사태에 대한 책임 회피로 해석될 가능성을 걱정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16일 문 대통령이 “(LH 사태로) 국민들께 큰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한 마음이다. 특히 성실하게 살아가는 국민들께 큰 허탈감과 실망을 드렸다”고 한 데 대해서도 청와대는 같은 날 ‘각주’를 달았다. 강민석 대변인이 “공분을 느끼는 국민들의 허탈한 마음에 진정성 있게 응답을 하신 것”이라고 부연했다. ‘문 대통령이 어쩔 수 없이 사과한 게 아니냐’라는 야당의 의심에 대한 반박이었다. LH 사태로 인한 민심 이반이 심상치 않은 만큼, 청와대가 메시지 관리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선 것으로 볼 수 있다.

신은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