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전 개원… 3대째 '아픈 이' 돌보는 치과가 있다

입력
2021.02.27 04:30
14면
<53> 인천 동구 중앙치과

1883년 고종이 일본과 맺은 제물포조약에 따라 개항한 인천항. 서양 문물 유입 통로가 되면서 인천은 개화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우리나라의 근대화와 산업화, 국제무역에도 기여했다. 이런 배경 덕에 인천에서 가장 오래됐을 법한 가게로 수인곡물시장통의 어느 점포나 차이나타운 한 길모퉁이의 중식당을 떠올리기 쉽지만, 인천 '최고(最古) 가게' 기록은 치과의원이 갖고 있다. 인천시 동구 송림동 주택가 대로변에 자리잡은 중앙치과. 인천에서 1970년 이전 창업해 현재까지 운영 중인 69개 점포 중 하나로, 일제 강점 중이던 1934년 개원했다.

중앙치과의원은 경인선 철길이 지나는 동구 송림동 배다리삼거리 인근, 지금은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문화극장 건너 편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드라마 '도깨비'와 영화 '극한직업' 배경으로 등장한 배다리 헌책방 거리에서 멀지 않은 곳이다.


since 1934 인천 最古 '가게'

중앙치과는 서울 출신의 고(故) 이시찬 초대 원장이 서울대 의과대학의 뿌리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를 졸업한 뒤 인천으로 와서 개원했다. 인천도시역사관은 "이 초대 원장이 이미 작고했기에 정확한 개원 연도는 알 수 없으나, 대략 대학을 졸업한 1934년으로 개원 시기를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 초대 원장은 내과의 자격도 있어 '중앙의원'이라는 이름으로 치과와 내과 진료를 함께 봤다. 지난 18일 만난 중앙치과의원 3대 원장인 이창수(58) 원장은 "치과의와 내과의 자격이 모두 있는 의사가 요즘도 드물지만 당시에는 더 드물었다"며 "치과의원이 드물던 때라 진료를 받기 위해 먼 지방에서도 손님들이 왔다고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의사회 회장을 지낸 이 초대 원장은 형편이 넉넉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무료 진료를 해주기도 했다. 그래서 중앙의원은 가난한 사람부터 이름 있는 정치인까지 늘 환자로 붐볐다. 일본인 환자도 많았다. 이 현 원장은 "다른 의사는 왕진을 갈 수 있지만 치과는 장비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진료를 받기 위해선 환자가 반드시 병원으로 와야 했다"며 "환자 중에 일본인이 많았는데, 그런 조부님의 인맥을 이용해 일본 쪽에 연을 이으려는 사람들도 병원을 많이 찾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초대 원장은 수동식 재봉틀처럼 발로 발판을 밟아 돌리는 치과용 드릴(핸드피스)을 사용해 진료를 봤다. 당시 핸드피스는 절삭력이 많이 떨어져 치료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환자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일 수밖에 없었다. 치과 진료용 의자(유니트체어)도 지금과 달리 조명등, 머리· 팔 받침대가 없는 단출한 모습이었다. 이 원장은 "아쉽게도 조부께서 쓰시던 핸드피스, 유니트체어를 비롯해 초기 중앙의원의 흔적은 병원이 두차례 이전하면서 버리거나 분실해 현재 남아있는 게 없다"고 말했다. 그가 아직 간직하고 있는 것은 초대 원장의 흑백 사진과 병원 이름이 전부다.


2대 오면서 "영리보단 봉사"

초대 원장이 예순이던 1968년 세상을 떠나면서 장남이 병원을 이어 받았다. 고(故) 이익원 2대 원장이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인천에서 자란 2대 원장은 치과 의사이면서 공무원이었다. 그는 대학 졸업 뒤 개업의가 아닌 다른 길을 택했다. 강원 평창, 대전 유성 등지에서 보건소장으로 근무했다. 초대 원장이 충청도 사투리를 쓰는 손자가 못마땅해 아들에게 한소리 했다고 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원장이 태어난 곳은 평창, 유년 시절을 보낸 곳은 유성이다.

이 원장은 "다섯살 때 조부님이 돌아가셨는데, 병원에서 떠들고 뛰어다니면서 놀다가 혼이 난 기억밖에 없다"며 "조부님은 엄하셨는데, 선친은 주변에서 '그렇게 좋은 분이 없다'고 할 만큼 자상한 분이셨다"고 기억했다.

병원을 물려 받기 위해 보건소장을 그만 둔 2대 원장은 병원에서 환자들을 진료하면서도 틈이 나면 전남 목포로 내려가곤 했다. 대한적십자사 병원선을 타기 위해서였다. 한번 내려가면 열흘에서 보름 정도 병원선을 타고 서해와 남해 이 섬 저 섬을 다니면서 낙도 주민들을 치료해줬다고 한다. 섬에서 그를 찾아 뭍으로 나오는 환자도 있었다.

이 원장은 "병원선 일은 봉사활동이어서 수익면에서는 병원을 운영하는 게 훨씬 나았을 것"이라며 "개업의가 아닌 보건소장을 택하신 것을 볼 때도 영리보단 봉사에 관심이 있으셨던 것 같다"고 말했다.


병원서 뛰놀던 아이, 3대 원장

2대 원장은 1972년 병원을 송림오거리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다. 1960년 문을 연 현대시장 건너편이었다. 이 일대는 당시 인천 최대 번화가인 인천 중구 신포동 주변 만큼이나 유동인구와 거주민이 많았다. 1970~80년 대 중앙치과의원은 여전히 많은 환자들이 찾았다. 인천 영종과 강화, 백령 등 섬뿐만 아니라 김포 등 경기도에서도 왔다.

병원 건물 2층은 가족의 살림집이었다. 이 사실을 아는 경찰과 응급환자들은 수시로 병원 문을 두드리고 전화를 걸었다. 교통사고나 폭행사건으로 치아가 빠지거나 부러지고 얼굴을 다친 환자들이 밤낮 없이 병원을 찾았다. 밤이나 새벽 간호사가 없을 때는 당시 학생 신분이었던 이 원장이 간호사 역할을 했다.

병원을 놀이터 삼아 뛰어다니고 아버지를 도와 환자를 돌보던 이 원장은 자연스럽게 치과 의사의 길을 걸었다. 그는 "강한 의지로 치과의를 선택했다기보단 당연히 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다"고 말했다. 글 쓰기를 즐기고 낚시 동호회 회장을 맡을 정도로 낚시광인 그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병원을 지키던 선친을 보면서 의사보다는 활동적인 기자나 방송 일을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한눈 팔기도 했다"며 "하지만 고교 진학 때 이과를 택하면서 망설임을 버렸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대학을 졸업한 1997년부터 아버지 밑에서 일했으나 아버지 건강이 나빠 환자 진료는 주로 그의 몫이었다. 2000년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병원을 이어 받았다. 주위에서 병원을 넓히고 직원 수도 늘리라는 조언을 많이 받았다. 그러나 그는 병원 홍보나 환자 유치를 위한 사무장, 상담실장(코디네이터) 등 비진료 직원은 따로 두지 않았다.

그는 "전통적인 치과 모델을 유지하면서 어느 순간 도태된다는 느낌이 든 것이 사실"이라며 "영리를 안 따질 순 없지만 조부, 선친에게서 배운 것이 있어 앞으로도 크게 바꿀 생각은 없다"고 말했다.


100년 가게 될지는 미지수


1970년대 17만명에 이르던 인천 동구 인구가 1990년대 들어 10만명 아래로 떨어지고 곳곳에 크고 작은 치과가 들어서면서 중앙치과의원은 큰 타격을 받았다. 기업형 네트워크 치과라는 큰 경쟁자도 나타났다.

주변에서는 신도시로 이전하라고 권유했다. 치과 일대가 도시환경정비사업 구역으로 지정돼 어쩔 수 없이 이주해야 할 상황에 놓이기도 했다. 그러다 2018년 정비구역 지정이 10년만에 해제되면서 병원 이전은 없던 일이 됐지만 언제 또 개발 바람이 불어 이전을 강요 받을지 알 수 없다. 이 원장은 "50년 넘게 한 자리를 지켰지만, 보상금은 7,000만원이 전부였다"며 "다행인지 불행인지 재개발사업이 무산됐다"고 말했다.

87년을 이어온 중앙치과의원이 4대로 이어져 '백년가게'가 될 수 있을까. 이 원장은 답을 유보했다. 두 아들 중 한 명이라도 병원을 이어 갔으면 하는 마음 반, 아들들이 원하는 길을 가길 바라는 마음이 반인 탓이다. "치과 의사 일이 힘들고, 재미를 찾기 어려운 직업이서 권하기도 그렇고, 그렇지만 오랜 시간 꾸준히 병원을 찾아주시는 환자 분들 생각하면 그냥 가만 있을 수도 없어요. 시간 있으니 좀 더 기다려보려고요."








이환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