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국가들이 속속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가운데 우리 정부도 8일 백신 접종 준비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는 이날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을 단장으로 한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을 구성하고 범정부 차원의 백신 접종 지원 준비를 시작했다.
이미 접종을 시작한 외국의 사례를 보면 접종 준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접종 시스템이 얼마나 잘 구축돼 있느냐에 따라 나라마다 접종률이 천차만별이다. 미국은 확진자가 2,000만명을 넘었지만 1차 접종을 마친 사람은 7일 기준으로 590만명(100명당 1.79명), 280만명의 확진자가 있는 영국은 130만명(100명당 1.91명)으로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있다. 반면 이스라엘은 160만명이 접종해 100명당 18명이 접종하는 등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 백신 접종에 대한 국민들의 수용성, 의료 인프라, 행정력에 따라 ‘집단면역’에 도달하는 시기도 큰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 백신 거부 정서가 거의 없고 우수한 의료 자원과 촘촘한 행정력을 갖추고 있다는 점은 유리한 점이다. 그러나 지난해 인플루엔자 백신의 상온 노출처럼 어처구니없는 유통 사고가 나기도 한 만큼 방심은 금물이다. 특히 코로나 백신 중 3분기에 공급 예정인 화이자 백신은 극저온의 콜드체인이 구축돼 있지 않으면 접종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여러 종류의 백신이 들어오는 만큼 백신별 특성에 맞는 접종 로드맵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은 필수다.
이날 신규 확진자가 600명대를 기록하는 등 3차 대유행의 정점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차 백신 물량이 도입될 다음달까지가 코로나 사태의 중대 고비가 될 것이다. 정부는 이 기간에 추적-치료-격리의 방역 대책에 고삐를 죄는 것은 물론이고 차질 없이 백신 접종 준비에 나서야 한다. 비록 백신 확보는 늦었지만 효율적으로 접종이 이뤄진다면 우리나라가 먼저 코로나 위기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