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권'마저 움직였다… 강남·힙지로·명동→집근처

입력
2020.12.28 18:20
14면

#. 서울 강서구 소규모 기공소에서 일해 재택근무가 아예 불가능한 이모(31)씨. 그는 요즘 퇴근 후 일산 거주지 근처에서만 신용카드를 꺼낸다. 코로나19로 예전처럼 직장 근처에서 먹던 식사는 사라졌다. 점심은 도시락으로 해결하고 저녁거리는 집 앞 마트나 편의점에서 산다. 이씨는 "술도 동네 친구 집에서 마셔서 카드 긁는 장소가 집 주변으로 고정됐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전통 상권이 움직이고 있다. 직장인들로 북적이던 도심이 썰렁해지고 사람들의 동선은 거주지 근처로 좁아졌다. 출근이나 등교, 외출 중에 소비를 하고 귀가하던 패턴이, 이제는 퇴근 또는 일과 후 소비로 대거 바뀌면서 상권도 주거지역 곳곳으로 재편되는 추세다.


28일 비씨카드 빅데이터센터에 따르면, 카드 결제 금액과 건수 수치가 50 이상(강남구=100 기준)인 자치구는 2018년까지 전통적인 오피스 상권에 몰려 있었지만, 올해는 주거 밀집 지역으로 확산됐다.

구체적으로 2018년 4월에는 마포구(56), 서초구(60), 송파구(61), 중구(68) 등에서 비교적 소비가 활발했다. 강남과 을지로, 명동 등 오피스 상권이 점령하다시피 했던 때다.

하지만 올 4월에는 강서구(53), 관악구(50), 영등포구(54) 소비가 치고 올라왔다. 거주지 중심에서 상권이 살아났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현상은 전국 편의점 매출에서도 두드러졌다. 'A급지'로 평가되던 홍대, 여의도 등 유흥가 또는 오피스 밀집 지역의 점포 매출이 고꾸라지고 하급지였던 주택 밀집지 매출이 오른다는 게 최근 업계의 설명이다.

실제 올해 10월 핼러윈데이 시즌 GS25의 관련 상품 매출을 살펴본 결과, '주거 상권'이 60.8%나 증가했다. '오피스 상권' 증가폭은 41.3%로 뒤를 이었고, 코로나19 이전 특수 효과가 가장 컸던 '유흥 상권'은 5.8%에 그쳤다. '학교·학원가 상권'은 2.1%로 대목이 민망한 수준이었다.

상권의 변화는 외식업계 지형도도 바꾸고 있다. 지난 8월 CJ푸드빌 한식뷔페 계절밥상 동대문점과 버거킹 홍대역점이 폐점한 게 대표적인 전통 상권 몰락의 여파다. 반면 치킨 브랜드 BBQ, 맘스터치와 분식 브랜드 스쿨푸드는 코로나19 속에서도 신규 매장을 늘려가고 있다. 임대료가 비싼 도심의 대로변 대신 거주지역 내 골목길에 소규모로 자리를 내 배달에 집중하는 점포 모델을 취한 게 공통적이다.

맹하경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