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직원 매주 코로나19 검사"...줄폐업 美외식업 '방역 승부수'

입력
2020.12.18 13:30
필라델피아, 식당 종사자 위한 자체 선별진료소 등장
봉쇄 조치 늘며 배달앱 수수료 제한도 확산
학계 "감염 확률 높은 식당, 수용 인원 제한 지켜야"

'내년 1월 7일부터 매주 목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시까지 '더고트' 레스토랑으로 오세요. 필라델피아의 모든 레스토랑 종사자와 가족에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무료로 해 드립니다.'

미국 외식 전문매체 이터 필라델피아는 14일(현지시간) 펜실베이니아주(州) 필라델피아의 200개 이상 식당을 대표하는 50인의 운영자 모임 '세이브 필리 레스토랑'이 최근 연방정부의 경기부양책(CARES Act) 지원을 받아 자체적으로 선별 진료소를 마련했다고 전했다.

이들은 "감염병 확산 시기에 식당 운영이 안전하지 않다는 데 동의하지만 분명히 방법이 있다고 믿는다"며 "우리는 외식업의 종말과 대규모 해고를 피하고 싶을 뿐"이라고 진료소 개설 배경을 밝혔다.

국내에서 코로나19 3차 대유행 여파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외식업 등 자영업자의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이미 전국 식당의 17%인 11만개 레스토랑이 문을 닫는 등 큰 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코로나19 최대 피해국 미국의 경우는 어떨까. 미 외식업계는 이처럼 자체적으로 '방역 승부수'를 던져 '청정 지역'에 도전하는 등 줄도산 위기에서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배달앱 대신 직접 주문하는 고객에 "쿠폰 폭탄 드려요"


앞서 지난달 24일 뉴욕의 레스토랑 '시티 와이너리'는 손님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검사 의무 지침을 시범 도입했다. 식당 측은 매주 화·수요일 코로나19 진단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된 손님만 입장시키는 이 같은 방식을 연말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고객은 메뉴 가격 외에 1인 당 50달러의 검사료도 지불해야 한다.

미 외식업계는 신규 확진자가 연일 역대 최대치를 기록해 곳곳에서 다시 코로나19 봉쇄 조치가 도입되면서 배달과 테이크 아웃만 허용되는 상황에서 배달 수익과 관련해서도 머리를 싸매고 있다.

국내와 마찬가지로 미국 소상공인들의 배달앱 수수료에 대한 불만도 상당하다. 뉴욕·샌프란시스코·로스앤젤레스 등 대도시는 이미 행정 명령 등을 통해 도어대시·우버이츠·그럽허브 등 배달앱의 수수료 상한성을 규정하고 있다.

10일 뉴저지주 뉴워크 시의회도 배달앱 수수료 제한 조례를 통과시켰다. 아울러 일부 식당 운영자들은 쿠폰을 발행해 배달앱을 통하지 않은 직접 배달 주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들은 또 무인 주문기(키오스크)와 자동 판매기 등 비대면 서비스를 늘리고 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바리스타가 내린 듯한 커피나 라면, 샐러드까지도 자동 판매기를 통해 판매하고 있다.


스탠퍼드대 연구진 '레스토랑, 바이러스 전파 위험 높아'

그렇다면 식당이 코로나19 집단 감염 발원지로 지목되는 것은 근거가 있는 것일까.

지난달 10일 미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식당은 코로나19가 가장 잘 퍼지는 장소로 나타났다.

유레 레스코벡 스탠퍼드대 교수 연구팀은 사람들의 움직임이 바이러스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휴대전화 응용소프트웨어(앱)의 익명화 한 위치 데이터를 분석했다. 3~5월 사이 뉴욕·시카고·샌프란시스코 등 미국 대도시 10곳을 대상으로 했다.

사람들이 식당과 교회, 호텔 등에 얼마나 머물렀는지 분석해 이를 감염병 전파 양상과 비교했다. 분석 결과 식당에 사람이 가득 찼을 때 감염이 가장 큰 규모로 확산되는 것으로 나왔다. 다만 식당의 수용 인원을 5분의 1로 제한하면 새로운 감염은 80% 억제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에 참여한 베스 레드버드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테이크 아웃이나 배달을 통해 레스토랑 영업을 계속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중요한 것은 한 공간에 있는 사람의 수와 그 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모든 식당을 영원히 닫는 게 아니라 식당의 운영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김소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