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극초음속 IRBM 발사 성공" 주장… 전문가 "러 기술 이전받았을 가능성"
북한이 전날 신형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7일 보도했지만 우리 군은 성과를 과장하는 '기만전술'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번 극초음속 IRBM이 작년 4월 발사한 '화성포-16나형'을 성능 개량한 것으로 보여 러시아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 "6일 신형 극초음속 IRBM 시험발사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며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시험발사 결과에 커다란 만족을 표시했다"고 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딸 주애와 함께 화상감시체계로 참관했으며, 장창하 미사일총국장 대장이 현장을 지도했다. 전날 평양 인근에서 발사된 극초음속 IRBM은 음속의 12배에 달하는 속도로 1차 정점고도 99.8㎞, 2차 정점고도 42.5㎞를 기록했으며 사거리는 1,500㎞로 목표 지점에 정확히 탄착됐다는 게 북한의 주장이다. 하지만 우리 군은 북한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한미일이 분석한 사거리는 1,100㎞이며, 2차 정점고도는 없었다"고 밝혔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변칙적으로 움직이면서 적의 요격 체계를 무력화하는 장점이 있는데, 1·2차 정점 고도 차이가 클수록 요격 회피 능력이 뛰어나다. 우리 군의 발표대로 2차 정점고도가 없었다면 북한이 아직 극초음속 미사일의 성능을 완벽하게 구현해내지 못했다는 뜻이다. 김 위원장은 "이러한 무기체계를 보유한 나라는 세계적으로 몇 안 될 것"이라며 "최신형 극초음속 IRBM의 성능은 그 어떤 조밀한 방어장벽도 효과적으로 뚫고 상대에게 심대한 군사적 타격을 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실장은 "한미 연합 감시정찰(ISR) 자산과 미사일 방어체계를 기반으로 북한이 보유한 어떠한 미사일도 요격할 준비가 돼 있다"고 일축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최신형'이라고 강조한 이번 극초음속 IRBM을 작년 4월 발사한 것과 동일한 '화성포-16나형'으로 보고 있다. 미사일 전문가인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합참이 전날 발표한 정점고도 100㎞, 극초음속 활공체(HGV) 분리 시 최대 속도 마하 10 이상, 비행거리 1,100㎞ 등의 정보만 놓고 봐도 작년에 비해선 향상된 성능을 얻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 이면에는 러시아의 기술 지원 가능성이 제기된다. 북한은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의 발동기 동체 제작에는 새로운 탄소섬유복합재료가 사용됐다"며 "비행 및 유도조종체계에도 새로운 효과적인 방식이 도입됐다"고 이례적으로 개선점을 공개했다. 탄소섬유는 고체연료 미사일 개발에 사용될 수 있어 대북 제재 품목으로 지정돼 있다. 러시아를 통해 확보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6일 "러시아가 북한에 첨단 위성 기술을 공유할 의도가 있다는 신뢰할 만한 정보가 있다"고 밝힌 부분도 북러 간 미사일 기술 협력 가능성에 힘을 싣고 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러시아는 극초음속 미사일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기술 진보를 이루고 있으며, 북한은 이번 발사로 러시아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궤적을 쫓아가고 있다"며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이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