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도쿄하계올림픽을 앞두고 후원 기업 및 해외 선수단과 교류 사업을 기대하고 있는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한숨이 늘고 있다. 일본 정부의 강한 개최 의지에도 국내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아 최종 개최 여부를 놓고 뚜렷한 전망이 보이지 않는 탓이다.
NHK가 지난달 국내외 도쿄올림픽 후원사 67곳을 대상으로 올림픽 개최에 따른 혜택을 기대하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응답한 54개사 중 "혜택을 얻을 수 있다"고 밝힌 회사는 22%(12곳)에 불과했다. "얻을 수 없다"가 9%(5곳), "모르겠다"고 한 회사는 65%(35곳)에 달했다. 올림픽 연기로 광고 등 홍보 기회가 감소했고 코로나19 확산으로 기업 실적이 악화해 당초 기대한 혜택을 얻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연말 종료되는 후원 계약을 연장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30%(16곳)가 "연장한다"고 밝힌 반면, 61%(33곳)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었다. 다만 현재 "연장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곳은 없지만 대회 개최 여부가 불투명한 가운데 선뜻 계약 연장에 나서기도 애매한 상황이다.
호스트타운으로 등록한 510곳의 지자체도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 일부는 감염 확산 우려 등을 고려해 등록 취소를 검토 중이다. 호스트타운은 올림픽 개최 분위기를 전국적으로 고양시키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해당 지자체는 참가국 또는 선수단과 계약을 맺어 대회 전 합숙훈련 장소 등을 제공하면서 지역 주민들과 교류 행사를 기대하고 있었다. 최근 정부 지침에 따르면, 선수들의 행동 관리와 감염 방지에 대한 책임은 지자체 측의 몫이다. 또 선수들과의 교류는 온라인을 활용하도록 하면서 대면 교류는 올림픽 이후에 할 것을 권유했다.
도미니카공화국 육상 선수단을 초청하려던 히로시마현 기타히로시마초(北廣島町)는 감염 방지를 위한 별도 차량과 숙소 마련에 따른 비용은 물론 당초 목적인 교류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해 등록 취소를 검토하고 있다. 올림픽이 개최된다고 해도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참가국 선수단이 입국 시기를 최대한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호주는 경기를 마친 선수를 이틀 후 귀국시키기로 방침을 세우는 등 교류 활동이 원활히 진행될지도 미지수다.
대회 개최에 의욕적인 정부가 경제 회복을 우선하면서 감염 방지 대책은 뒷전이란 우려도 있다. 정부는 내년 올림픽 경기 관람을 위해 입국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2주 간 격리를 면제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제한하지 않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입국 전 음성 확인 증명서 소지와 감염자 접촉 확인 애플리케이션(COCOA·코코아) 설치를 조건으로 달았다. 그러나 코코아 앱은 6월 출시 후 일본 내 다운로드 건수가 2,000만건 수준에 불과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이런 상황에서 올림픽 이후 해외 관광객 유치를 대비해 내년 봄엔 소규모 해외 관광객을 수용해 감염 방지 대책을 검증하는 실증 실험마저 검토하고 있다.